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천년의 금서
김진명 지음 / 새움 / 2009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김진명씨가 쓴 책은 을 흥미진진하지만 

무엇보다 책을 쓰기 위하여 연구한 자료들이 너무 마음에 듭니다 

이 책을 나온 것을 알았지만 일부러 천천히 구입했습니다 

왜냐하면 한번 잡으로 빠진다는 것을 알기 때문입니다 

역시 이번에도  

한번 손에 잡고는 놓을 수가 없어서 결국  끝까지 읽고 말았습니다 

이렇게 역사적인 자료와 근거한 이유들이 좋습니다  

사실 저는 "지금까지는  한"이라는 말이 우리나라 남쪽 삼한에서 나왔다고 이해하고 있었지만  

 읽었지만 삼한의 역사도 확실하게 가르쳐 주는 것이 없었습니다   

확실한 근거를 배우게 되어 정말 감사합니다 

우리나라 국사의 현재가 일제시대의 잔재라는 것은 어느 정도 알고 있습니다 

어서 이런 낡은 틀에서 벗어나야 할 것 같습니다 

요즘 서점에 나오는 많은 역사에 관한 책들이 거의가 이것을 지적하는 것 같았습니다 

일제시대에 공부한 학자  

그리고 그의 제자들 

우리의 한심한 작태(?)는 이제는 벗어나면 좋겠습니다 

김진명씨의 이번 책은 이런 면에서 너무 좋습니다 

많은 분들이 이 책을 읽고 좋은 기회를 가졌으면 좋겠습니다 

친일적인 사상을 가진 학자들이 각성하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책을 사랑하는 많은 독자들에게 이 책을 추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얼굴 없는 군사 두억시니 - 전봉준과 동학란의 풀리지 않은 수수께끼
고두현 지음 / 나노미디어 / 200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귀한 소재를 다루어서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독자들을 위하여 해준 친절한 설명이 지루하기는 하지만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역사 소설이 동학란과 전봉준에 대하여는 많지 않는 것같습니다.

역사 소설이 한참 읽히고 있지만  동학란이나 삼별초 같은 소재는 잘 다루지 않는 것 같습니다.

이 책은 출판사의 배짱이 대단합니다. 아마 분량이 다른 책 두권은 되는 듯합니다.

(549페이지)

요즘 상술로 상 하 권으로 나눌 수 있을 것입니다

억지로 지면을 매우려는 출판사도 많은데 출판사의 우직함이 마음에 듭니다.

그리고 자세한 설명은 역사를 공부하는데 이들에게도 많은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좋은 책 감사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숙종, 조선의 지존으로 서다 - 타고난 절대군주가 뿜어낸 애민의 카리스마 숙종의 진면목 이한우의 군주열전
이한우 지음 / 해냄 / 200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숙종을 읽고 새로운 것을 느낀다.

이젠에는 늘 숙종에 내하여는 이미지가 좋지 않았다.

아마 장희빈이 너무 익숙하기 때문이리라.

그러니 이 책을 읽으면서 숙종에 대하여 새롭게 보는 눈을 가졌다.

그당시의 시대적인 환경이나 그가 남긴 업적이나 그가 이룩한 왕권에 대하여는 채 보지 못했던 것이다.

그러니 숙종을 읽으면서

그가 얼마나 위대한 왕인가를 알았다.

흔히 드라마에서 숙종을 변덕이 심하여

두 여인 사에서 갈팡 질팡하는 중심이 없는 사내로 그려졌기 때문이리라.

덕분에 다른 책들도 흥미 있게 읽었다(정조 선조 성종)

역사란 어떤 눈으로 보느냐? 에 따라서 다르게 볼 수 있다.

연산군이 과연 어떤 인물인가? 에 대하여도 관점에 따라 달라진다.

송시열과의 끈질긴 싸움에서도  승리는 장면

폭군처럼 행동하지만 확실하게 왕권을 장악하는 장면

숙종을 다시 보게 해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친절한 복희씨
박완서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리움을 위하여" 나 "그 남자네 집" 은 이미 읽은 기억이 있다.

내가 박완서 작가의 작품을 좋아하는 것은 이웃집 아줌마의 구수한 살아온 이야기 같기 때문이다.

"후남아! 밥먹어라 는 읽으면서   나도 몰래 눈물이 흐른다.

그러나 작가는 아무렇지도 않게 이야기를 전개한다.

교포 세계에서 눅나 보고 느끼는 너무나 동감할 수 있는 이야기를 하면서도 흐르는 물처럼 놀라움도 느낌도 없는 것처럼 진행된다.

나는 우리나라의 변화를 거의 모르고 바쁘게 정신없이 살아가는 이민자들을 보았다.

그리고 자신들이 어느 정도 자리를 잡았다고 생각하고 고국을 다녀려 왔지만

너무나 많이 변해버린 우리나라의 현재를 보고 놀라서 말도 못하던 경우를 보았다.

물론 우리가 너무많이 변했기 때문이다.

작가는 이런 놀라움을 너무나 담담히 이웃집 아줌마의 이야기처럼 전개한다.

이제는 세상을 떠나시고 계시지 않는 부모님을 생각하면서

그렇게도 그리워서 멀리 떠난 자식을 잊지 못하는 부모의 심정을 드려다 본다.

심지어 치매라는 극한 상황에서도 잊지 못하는 내 자식이라니....

고향에서 어머님이 해주시던 밥상은 풍성하진 못해도 왜 그렇게 좋던지

그리고 재래식 부엌에서 나오는 매캐한 그 냄새들이 너무 그립다

마치 고향을 다녀온 기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