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가 - 일상의 아름다움을 찾아낸 파리의 관찰자 클래식 클라우드 24
이연식 지음 / arte(아르테)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술을 아우르는 음악과 미술 영화 무용 등 다양한 형태의 예술(藝術) 분야 중에서 발레 그리고 음악? 하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화가는 바로 드가였다. 종합예술의 한 분야인 오페라와 발레를 보고 들으며 무희(舞姬)들의 리허설 장면을 끊임없이 연구하고 습작으로 남긴 드가의 놀라운 관찰력. 카메라와 사진이 발명되고 나서 화가들의 예술적 활동은 또 다른 변곡점을 맞이하게 되는데, 당시 인상주의 화가들이 풍경을 주로 담았던 것을 생각해 보면 그 찰나의 순간을 누구보다도 가장 섬세하게  ‘일상의 아름다움’을 담아내려고 하였던 ‘파리의 관찰자’ 드가. 


그가 남긴 여러 작품을 통해 느껴지는 내공은 찰나의 순간을 관객들에게 전하는 음악가나 발레리나들이 무대에 오르기 전 수많은 연습 시간을 감내하였을 그 찬란한 노력에서 느껴지는 땀과 눈물에 비례하는 듯하다. 드가(1834-1917) 사후 100년이 넘는 시간까지 여전히 멜로디가 되어 들리는 듯하니, 이 책을 만난 것을 행운으로 여겨 오래 담아 두고 싶고, 언젠가 다시 가보고 싶은 파리 그리고 오르세 미술관을 마음에 그려본다. 


첫 페이지를 넘기면 나오는 파리 시가지의 전경과 마주하며, 드가의 생애와 예술공간을 일러스트로 만들었다. QR 코드를 검색하니 친절하게도 구글맵에 표시가 되어 사진과 거리 풍경 또한 볼 수 있어서 가보지 못했던 곳은 Wish List에 담아 두게 되었다. 책의 여정은 일레르 제르맹 에드가르 드가  Hilaire Germain Edagar Deags (드가의 본명)의 출생이 아닌 그가 잠들어 있는 묘소로부터 시작한다. 사람이 태어나고 죽음에 이르는 순서가 아닌 드물게도 그의 죽음부터 거슬러 올라가도록 저자가 서두를 삼은 것이 인상 깊었다. 그리고 드가가  화가의 삶을 살고자 하여 루브르 박물관에서부터 옛 거장들의 다양한 옛 작품들을 모사하였고, 이탈리아를 방문하여 지냈던 일과 그가 20년 넘게 살았다는 빅토르 마세 거리 그리고 파리의 중심이 되었을 콩코르드와 인상주의가 탄생하였던 몽마르트 언덕 피갈 광장. 개인적으로는 아주 오래전 기억을 더듬어 마주했던 몽마르트 언덕에서 바라본 파리의 풍경이 아직도 눈에 선한데 당시 예술에 대해 조금 더 관심 있게 알았더라면 벨에포크 시대 황금기를 누렸을 인상주의 화가들의 일상을 추억하는 누군가가 내가 되어 더 의미가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 도 있다. 그러나 언젠가는 팬데믹이 종식되어 자유롭게 오갈 수 있는 그날을 기대하며, 파리하면 떠오른 예술을 만나러 가고 싶은 숨은 명소 골목을 누비며 노트르담 성당을 언제 다시 마주할 수 있을까? 하는 아쉬움은 남지만, 파리하면 떠오르는 기다림과 설렘의 시작은 드가의 여정으로부터 시작해 보고 싶은 마음이 든다. 


파리하면 가장 먼저 방문하여 시간을 오래 두고 탐색하고 싶은 곳은 바로 오르세 미술관이다. 정말 몇 해전 오르세 미술관 개장 30주년 기념으로 한국에서 전시회를 했는데, 너무 좋아서 도록까지 구입했던 일이 이번에 드가를 만나면서 많은 도움이 되었다. 책에서 언급했던 당시의 여러 화가들의 그림들을 보고 온 택트 시대에 누리는 대리만족은 나름 흥미를 더하기도 하였다. 드가 하면 떠오르는 발레 그림 말고도 경마에 관한 그린 작품들을 볼 수 있는데,  배경이 되는 불로뉴 숲, 날씨만 좋으면 유럽 사람들은 돗자리 들고 나와 광합성을 많이 하는 그곳으로 소풍 가는 상상을 해보기도 하였다.  그리고 발레리나들이 무대 위에서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모습뿐만 아니라 연습실 풍경 무대 아래 오케스트라 단원들까지 그 어느 놓치지 않고 화폭에 담아낸 드가, 말년에는 눈이 보이지 않아 조각 작품을 남기기도 하였는데, 드가가 발레 작품을 남긴 것은 여전히 감동을 자아내게 된다. 당시 발레 공연이 왕성하게 열렸을 오페라 가르니에 극장, 이 또한 오래전 외형만 보았는데, 이곳 오페라 가르니에서 그 어떤 공연이라도 볼 수 있게 된다면 드가의 생애와 예술을 따라가는 여정에서 클라이맥스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p.169 드가는 순간을 깊이 의식했기에, 순간을 그릴 수 없다는 것 또한 깊이 의식할 수밖에 없었다. 그 결과 그는 시간의 흐름이 느껴지지 않는 화면을 만들어 냈다. 


출간 전 연재를 알고 나서부터 표지 선정 디자인과 드가의 작품들을 감상하면서 그리고 책을 마주하며, 처음 보게 된 드가(1834-1917) 作 Rest, 1893 도 이 그림을 처음 본 그 누군가에게는 ‘쉼’이 되어줄 명화이기를 바란다. 또한 파리를 사랑하고 예술을 동경하고 드가라는 이름을 기억하는 모든 사람들이 이 책을 만나고 위로와 힐링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