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으로 읽는 아리아 - 스물세 편의 오페라로 본 예술의 본질
손수연 지음 / 북랩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의 말미에 언급한 에필로그에서 소개한 대로 책은 공연예술 전문 월간지 < 무브> '아리아가 있는 풍경'이라는 제목으로 실린 스물세 편의 글을 모았다고 한다. 때로는 우리에게 익숙한 고흐, 마네 그리고 제임스 티소 등의 서양화가에서부터 김환기와 이중섭 한국작가들의 그림까지 서양 오페라와 어우러져 읽는 재미를 더하고 있다. 악기나 음악을 묘사한 그림이 아니더라도 저자의 안목으로 명화와 음악을 매칭 스토리는 주제만으로도 흥미롭다. 책의 구성은 푸치니의 오페라 < 보엠>,<토스카>, 나비부인, 베르디 오페라 <맥베스>,< 트라비아타>, 모차르트의 오페라 < 피가로의 결혼> 오페라의 내용을 설명하고 화가의 명화 작품을 설명하여 서로 연관을 맺었다. 그래서 아리아는 들어보고 싶고, 명화는 깊게 감상하고 싶은 마음이 생긴다


쉽게 읽을 있었지만,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소개된 명화와 오페라 아리아에 관한 목차가 있었으면 하는 것이다. 월간지 형식으로 쓰인 글을 생각하면 가능한 구조이기도 하지만, 스토리마다 연결되는 내용 시작이 명화를 설명하고 있는데 명화는 스토리 뒤에 위치하고 있다

책을 읽고 있다 보니 각자 본연의 재료가 살아난 맛이 어우러진 전골이 생각난다. 명화와 음악이 함께 어우러져 다른 스토리를 만들어 내고 있기에 예술을 좋아하는 독자라면 흥미롭게 읽어볼 만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