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의 밤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남자가 딸을 잃었다. 음주운전을 한 운전자는 사고후 신음하는 딸을 오히려 목을 졸라 저수지에 유기하고 도망가고 말았다.아버지는 복수를 결심한다. 운명의 장난처럼 그 아버지의 집옆으로 일자리를 옮긴 가해자. 아버지는 그 가해자의 가족까지 복수의 대상으로 잔인한 복수를 실행한다. 

줄거리를 이렇게 쓴다면 모든건 인과응보의 과정처럼 너무나 당연한 복수극일 뿐이다.

영화 복수는 나의 것의 송강호처럼... 그 범인을 증오하는 것이 너무 당연한 이야기지만, 복수의 주체와 그 진행은 오히려 더 복잡다단하게 소설은 부조리의 극치를 보여준다. 가정을 지키기위해 오히려 더 큰 범죄를 저지르는 아버지. 가정을 파괴하고 극단의 사이코패스 기질을 나타내지만 품안의 자기소유의 물건을 잃고 떼를 쓰는 어린애처럼 자기만족만을 위한 복수를 실행하는 또다른 아버지.

 범인을 보여주고 이야기의 시작부터 범인을 보여주며 사건을 진행하지만 잘 짜여진 한편의 교향곡처럼 사건은 순차적으로 점점 빠른 호흡으로 극단으로 치달으며 파국을 맞이한다. 
 

읽는내내 영화 복수는 나의것을 떠올렸다. 악의는 없었다. 소소한 일상을 지키고 싶었을 뿐이다. 그렇지만 그 악의없는 행동은 너무나 큰 실수내지는 판단착오였으며 그에 대한 댓가는 자신이 지키고 싶은 모든 것에 대한 파멸이었다. 복수는 나의 것에서의 애잔한 그들처럼.... 

이미 이 책은 충무로의 블루칩이며, 러닝개런티 포함 고액에 판권이 매각되었고 충무로의 내노라 하는 작가들이 탐을 내고 있다고 한다. 책의 구성과 사건의 흐름. 관념이 배제된 직설적인 이야기의 구성은 오히려 애초에 이 책은 시나리오 즉 영화를 꿈꾸고 씌여졌지 않나 하는 의심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중반까지의 팽팽한 긴장감은 조금은 어이없이 종결되며, 또한 초반 공간의 그로테스크함을 이끄는 물안개가 가득한 댐의 이미지는 중반이후 어딘가로 실종되어버리기도 하다. 
 

 맛난 한정식집이라도 모든 반찬이 입맛에 맞을 수는 없다. 젓가락질이 가는 반찬이 그 가짓수가 그날 점심의 전체적인 맛을 결정하는 것처럼 소소한 섭섭함을 차지하고 전체적인 흐름과 흡인력에 대해서는 근자의 소설중에 단연 압권이다.

-사족이지만 잠깐 그 사이코패스 역시 딸을 잃은 아픔을 잠깐 나타난다. 그뿐이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