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월의 이틀
장정일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9년 11월
평점 :
표지제목부터 선명하다. 장정일의 10년만의 신작. 그 이름만으로 한국문학의 한 세대이다. 아담이 눈뜰때로 시작한 좌충우돌의 글쓰기. 동성애를 비롯한 모든 금기에 대한 도전. 지배권력에 두려워하지않고 대놓고 조롱하기. 히피의 흉내를 내지 않고 제자리에 머문듯하면서도 세상의 위선에대해 날카로운 반항아. 독서일기를 꾸준히 낼 정도의 다독의 부지런함.
그런그가 거의 절필에 가까운 침묵끝에 신작소설이 나왔다. 어쩌면 장정일키드라고 자부할만큼 그가 말한 노래를 쥐어짜듯이 듣고, (청춘의 몇년을 레드제플린과 도어즈에 허덕였었나....)그가 권하는 책을 기어이 읽어볼려고 노력했었다. 그가 안내한 음악과 또다른 곳의 세상은 짜릿한 일탈이었다. -바나나 껍질을 말려 피워보려고도 했었다. 마르지 않고 썩어서 탈이었지....ㅋ- 10년만의 그의 신작에 난 쌍수를 들고 환영한다.
하지만 장정일의 이 소설은 어떻게 이해를 해야할지 모르겠다. 대한민국의 건전한 우익을 결코 꼴통이 아닌 건전하고 상식적인 우익을 보여주겠다는 작가의 포부를 밝혔는데. ... 설마..농담이시겠지. 여전히 말도안되는 빨갱이타령하는 거북선생을 만난 은이 너까지꺼이 무쉰 좌파정부 10년동안 탄압을 받았다는 거야..라고 내심 조롱하지만 그의 결론은 결국 그와의 동성애일뿐이다. 늙은 수구와의 동성애와 금과의 동성애는 장정일이 말하는 빚이없는 건강한 우익은 있을수없다는 조롱아닌가. ..
왜 이런 울림없는 이문열의 오디세이아 서울같은 녹아나지 못하는 싸구려 정치팜플렛 같은 주장만 가득한 책을 냈을까. 소설이라는 장르에 대한 혐오가 목적이라면 그는 천재일것이고, 그것이 아니라면 생기발랄한 반항아는 시간흘러 현실에 안주하는 낡은 모습만 남을것일것이다. 도저히 구월의 이틀에 대한 평가는 그의 흘러가는 사유의 지향이 어디인지 불분명하다. 그래서 조금더 기다려본다. 평가는 그후의 일이될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