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관이 된 철학교수
프랭크 맥클러스키 지음, 이종철 옮김 / 북섬 / 2007년 6월
평점 :
품절


'투잡스'라는 말이 생소하지 않는 요즘시대이다. 낮의 모습과 저녁의 모습이 다르고 낮의 화려함 뒷편에는 밤의 초라함이 공존한다. 생계를 위해서, 사교육비를 마련하기 위해서, 조기유학간 자녀들을 위해서, 사채빚을 갚기위해서...이유도 다양하다.
우리들의 사는 모습이 이러하니 투잡스의 이야기가 색다르지 않다. 처음에 이 책을 접할 때도 그런 선입견이 있었다. 다만 철학교수와 소방관이 어떻게 조화를 이룰 것인가에 관심이 있었다. 철학교수가 명예소방관이 되어 강의한 내용을 전하는 정도로 생각했다.

책을 받아보고 1~2페이지를 넘기는 순간 이러한 한가한 선입견이 미안하게 생각되었다. 편안하고 안정한 책상을 박차고 나와 '불의 현장'으로 달녀간 저자, 아는 철학 지식을 현장에서 삶으로 묵상하는 저자를 만나고 싶은 마음에 책에 사로잡히고 말았다.

가끔 살아가면서 다른 사람들을 섬기며 살아야지..하는 마음이 봄볕에 피어오르는 아지랑이처럼 일어나지만 ..그것도 그 때뿐이다. 현실의 벽을 뛰어넘지 못한다. 내 형편에 무슨...내 재주에 무슨..오히려 섬김의 마음은 무능이 되고, 부끄러움이 된다. 이 책을 읽는 중에 만약 나에게도 이 교수처럼 소방관이 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짐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편안한 잠을 포기하고, 머리가 지끈거리도록 신경쓰며 살 수 있을까.. 아마도 나의 경우라면 이렇게 답했을 것이다.
'강의 준비를 해야 합니다. 충실한 준비가 훌륭한 강의를 가능하게 만들기 때문이죠'
'논문을 준비중입니다. 학자는 언제나 책으로 이야기하거든요'
말할 수 있는 변명이 너무나 많아 여기에 다 기록할 수 없다.

이 책이 감동을 주는 것은 대략 3가지 정도이다.
첫째, 자기 생명을 던져 남의 생명을 구하는 불의 현장에서 직접 체험한 일들을 기록했다. 안전보다는 위기와 극한 한계 속으로 뛰어든 저자가 그 현장에 있지아니하면 결코 알 수 없는 뜨거운 삶의 지혜를 알맞게 구워 제공한다. 지식은 삶의 체험앞에 무력하다.

둘째, 두려움에 정면 도전했다. 두려움은 피할 때 진짜 두려움이 된다. 철학교수는 두렵기 때문에 두려움을 쓰다듬고 달래려했다면 소방관은 두렵지만 두려움 속으로 뛰어 들었다. 자신이 직접 보지 않는 현장을  마치 가본것처럼 말하는 태도는 거짓보다 더욱 악하다. 자신이 경험하지 못한 신의 사랑을 경험한 것처럼 말하는 자의 입은 구토하는 그 입보다 더 더럽다.

셋째, 매일 묵상하는 삶을 살았다. 매일 묵상은 감사의 마음을 배양한다. 작은 부품하나 세심히 살피는 습관이 비상시 출발하는 소방차의 안전과 직결되듯  매일 반복되는 현재에서 작은 차이를  발견하며 즐기면 삶이 행복과 직결된다.

이 책은 매일의 삶을 어떻게 묵상하는 것이 좋은 가를 알려주는 교과서이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7-08-31 09:37   URL
비밀 댓글입니다.

1004 2009-09-22 10: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책을 읽고 감동을 받으셨군요...
그 감동... 제게도 전염되었네요^^
좋은 서평 잘 보고 갑니다..
좋은하루 되세요^^

샐로스 2009-09-22 23:01   좋아요 0 | URL
귀한 방문에 감사드립니다.^^ 칭찬이 저에게 전염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