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의 작은 마을 - 어느 날 문득 숨고 싶을 때
조현숙 지음 / 비타북스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거의 모든 사람들은 지금도 다른 사람의 눈치를 보면서 살아가고 있을것이다. 다른 사람을 신경쓰지 않고 당당하게 행동하는 사람이 누가 있을까? 나 같은 경우에는 이게 굉장히 심한 편이라서, 길가다가도 누가 나를 쳐다 보는것 같고, 학교에서 친구들이랑 이야기 하면서도 말 하나하나에 신경쓰고, 심지어 집에서 마저 그러는 편이다. 원래 스트레스에 예민한 편이기까지 하니, 매일 스트레스 성 병들을 달고 다닌다.


그래서 이 책 표지의 첫 구문이 날 사로잡았다. '어느 날 문득 숨고 싶을 때'. 이제 19살보다 고3이라는 단어가 더 익숙한 그런 시기가 되었다. 그래서 이 말이 내게 더 다가왔는지도 모른다.


개인적으로 조용하고 숨을 수 있는 곳, 하면 섬이 떠오른다. 그래서 라오스의 씨판돈과 태국의 꼬묵이 기억에 남는다. 이름들도 특이하고, 정말 조용하고 여유로운 그런 섬들이라는 이미지가 내게 전해왔다. 나 역시도 개발되고, 상업적인것을 원하지 않지만, 사실 어느정도의 개발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 두 지역은 이 두가지가 정말 잘 균형잡혀 있다고 한다. 그래서 꼭 근시일내에 가고싶은 곳. 언제 이 균형이 깨질지 모르니깐 말이다.


<원시적 아름다움을 좇는 사람들, 그러나 정작 그 사람들 때문에 아름다움을 간직하기란 또 얼마나 어려운 것인지. 그런 문제들을 고려하면 꼬묵은 균형을 잘 잡고 있는 섬이다. 물론 개발될 수 없는 섬의 여건 탓도 있겠지만 꼬묵 사람들은 적어도 모두 관광업에 매달리진 않으니까. 이런 섬에서는 누구든 흔적을 남기지 않는 바람처럼 조용히 머물다 가야 한다고, 이런저런 생각이 마을을 걸을 때마다 들곤 했다.>


우리는 종종 열대지방에 사는 사람들은, 덥고 풍부한 식량 탓에 게으르다는 말을 하곤한다. 하지만 그건 게으른것이 아니라 여유로운 것이다. 바로 이 여유로움 때문에 수 많은 곳들이 아름다움을 간직할 수 있고 그것을 우리가 전달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책을 읽으면서 내가 가장 많이 들었던 생각은 '과연 이 곳들이 내가 갈때쯤에도 이런 모습일까?'다. 나는 지금 이제 20대를 향해 달려가고 있는 중이고, 여행을 가려면 못해도 십년은 지나야 된다고 생각한다. 십년, 아니 수십년이 흐르더라도 저자가 보고 만난것처럼, 이곳의, 이곳 사람들의 여유로움이 남아있기를 바란다. 내가 갈 수 있을 때도 만날 수 있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