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질의 세계 - 6가지 물질이 그려내는 인류 문명의 대서사시
에드 콘웨이 지음, 이종인 옮김 / 인플루엔셜(주)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저자 에드 콘웨이는 영국의 경제 전문기자이자 <더 타임스>의 칼럼니스트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작은 물건을 만드는데 거대한 양의 자원과 물질이 사용된다는 것에 착안, 세상을 바꾸고 미래를 만들어갈 6대물질(모래, 소금, 철, 구리, 석유, 리튬)을 선정했다.
샘플책을 받아본 후 의아했던 점은 왜 지금 저자는 물질을 이야기하는가 하는 것이다.
책에서 말하길 저자는 채석장에서 몇 개월을 보냈다고 한다. 유럽의 가장 깊은 광산에 가서 아주 무더운 깊이까지 내려가봤는가하면 소금의 어떻게 생성되고 어떻게 화합물로 변하는지, 붉은 암석이 녹아서 어떻게 -용융금속- 강철이 되는지, 초록색 물 웅덩이에서 어떻게 리튬을 얻어 전기차배터리로 어떻게 탄생하게 되는지 말이다. 그 여행을 하는 동안 깨달았다고 한다.
' 나는 물질의 세계와 완전히 다른 세계, 그러니까 ' 비물질 세계(영적 세계 혹은 정신세계)라고 부를 수 있는 곳에서 너무 오래 살았구나.'
온라인 세상에서 물건을 사고 팔고 생각과 조언, 배달을 비롯한 온갖 서비스와 편리함을 누리지만 사실 물질이라는 것은 우리 일상생활에서 빼 놓을 수 없다. 이 세계가 존재하지 않았더라면, 인류는 번영을 누리지 못했을 것이라는 저자의 말이 새삼스럽다. 정말 온통 주변에 존재하는 이 물건들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진심으로 궁금한 적이 있었던가 생각해본다. 너무도 당연하고 어쩌면 자연스러워서, 그러나 이 책에서 말하는 6대광물은 대부분의 영역에서 즉각적인 대처물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한다.
어떤 문명의 붕괴 혹은 승리는 이 6가지 물질 중 어느 하나가 없거나 있었기 때문에 일어났다고 하니 이토록 중요하구나싶다.
이 책의 처음 시작은 모래다. 파트1, 처음 시작이 모래로 시작하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제품이 유리이고, 가장 고도화된 제품 중 하나가 반도체다. 이 두가지가 바로 모래에서 나왔다.
샘플북으로 파트1 모래부분을 읽어봤다. 유리의 주성분이 모래알의 주성분인 실리카인 것도 첨 알았다. 가장 오래됐으나 가장 현대적인 물질인 모래에 대해 유리의기원- 1차세계대전과 쌍안경전쟁- 콘크리트-실리콘을 거쳐 반도체까지의 여정이 펼쳐진다. 그 과정이 신기하고 흥미로웠다. 특히 모래를 리튬같은 배터리 물질또는 구리와 비슷한 수준의 광물취급을 해야한다는 주장도 재밌다. 모래는 이미 중요한 비지니스가 됐고 모래채취로 인한 모래위기가 야기되고 있다는 점이다.
도처에 깔려있는 흔하고 흔한 모래, 이 모래가 어떻게 무엇으로 사용될지를 생각해보면 역시 무시할 수 없는 문제인 것이다.(어쩌면 그런 생각을 해 본다는 것 자체가 가능할까 싶다. 모래말고도 재밌고 즉각적인 즐거움은 언제든 깔려있다. 모래알만큼)
이 물질의 세계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아는 것은 곧 인류를 들여다보는 것이며 결코 그 어떤 것이든 단독으로 존재하는것은 없다는 것을 깨닫게 한다. 사슬수준이 아니라 거미줄로 얽혀 있고 지나온 날들의 역사 뿐 아니라 앞으로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마저 제시한다는 점이다. 이 책 정말 흥미롭다 . 개인적으로 소금파트가 정말 궁금해 꼭 읽어볼 생각임.




P31. 우리는 글자 그대로의 '탈물질화 세계'에서는 살 수 없을 것이다. 인간은 돌을 집어 도구를 사용한 이래로 지상에서 자원을 개발하면서 발자국을 남겨왔다. 우리에게는 그 발자국을 축소한다는 선택지도 있다. 그렇게 해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고 기후변화에 맞설 수 있다. 그런데 여기에는 한 가지 역설이 숨어있다. 그러한 약속의 땅으로 가려면 지금보다도 더 많이 땅을 파고 더 많이 폭파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P51 유리는 사람들이 더 오래 일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여 각국의 경쟁력을 높였다. 렌즈가 발명되기 전까지 시력을 잃은 사람들은 조기은퇴를 해야했다. 안경에 들어가는 양볼록렌즈 덕분에 수백만명이 은퇴를 미루고 더 오래 일할수 있었다.




- 출판사로부터 샘플북을 제공받아 작성한 후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