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몇 주일동안 몇 달 동안 나는 밤에만 깨어 있었다. 슬픔의 얼굴을 만나고 싶은 사람은 그런 간단한 과정을 통해서 첫번째 시험을 통과하게 된다. 그렇게 해서 오래전에 슬픔 속으로 사라져 버린 어떤 이의 발자국을 우연히 마주칠 수도 있다. 그러나 그가 어디로 갔는지 아무도 모르리.

 

 

...(중략)...

음울은 그런 상태에서 몰입하는 자가 얻는 검은 어지러움이다. 슬픔이 절대적으로 음울할 수 밖에 없는 것은 결코 공유되거나 위로될 수 없기 때문이고 상상을 불허하고 마침내는 목구멍을 불태워버리기 때문이다.

 

 

p.29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보육원의 산만하기만 한 많은 아이들도 여인을 한 번도 진정으로 방해할 수 있었던 적은 없었다. 여인은 자신에게 부과된 노동을 항상 진심을 가지고 했고 그 노동이 마음 속에서 자신의 본질적 요소와 충돌을 일으키지 않으리라는 믿음을 잃지 않았기 때문에 더욱더 그 노동에 자신을 던질 수 있었던 것이다. 여인은  마음은 그만큼 넓었다. 비위가 상하는 어떤 사람을 만나거나 어떤 일을 해도 그로 인해 여인 내면의 자기 공간이 크게 상처받거나 줄어들지 않는, 그런 마음을 가지고 잇었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이번은 달랐다. 여인의 호흡이 고통스러워졌다. 미음, 증오, 지옥, 전쟁, 그리고 동족. 머릿속에서 몇 개의 단어가 꼬리에 꼬리를 물고 회오리치며 여인을 매질하고 있었다. 여인은 당장 땅바닥에서 눈에 띄는 돌맹이를 하나 집어들고 꼬마들을 향해 커다랗게 고함을 지르면서 집어던졌다. 킬킬거리며 다가오던 어린아이들은 놀라서 주춤거렸다. 여인은 자신도 무슨 뜻인지 모르는 괴성을 지르며 다시 돌멩이를 찾아 들고, 놀라서 만류하는 남편을 거칠게 뿌리치고는 다시 한 번 더 멀리, 더 위협적으로 집어던졌다. '내가 도대체 무슨 해를 끼쳤다고 나한테 이러는 거지? 상관없어! 이유가 뭐든, 너희들이 나를 증오하니, 나도 너희를 증오할 수 밖에! 이 사람의 탈을 쓴 쥐새끼들아!' 여인은 목이 터져라 이렇게 외치고 싶었으나 정작 입 밖으로 튀어나온 것은 여인이 일생 동안 한 번도 말해 본 적 없는, 어쩌면 들어 본 적도 없을 것 같은 거칠고 더러운 욕설이었다. 여인은 어른이었고 키가 큰데다가 젊고 힘이 셌기 때문에 여인이 던진 돌은 아이들에게 가까이 다가갔다. 겁먹은 아이들은 울상을 짓더니 달아나기 시작했다. 맨발의 쥐새끼들이 고함을 지르면서 달아난다. 그러나 여인은 돌팔매를 멈추지 않았고 길다란 팔을 휘두르면서 아이들을 쫓아가기까지 했다. 뒤따라온 남편이 그녀의 팔과 허리와 옷자락을 움켜쥐었다. 남편은 바로 다름 아닌 그녀 내면의 너그러운 관용을 사랑한 것이 아니었던가. 방해당하지 않을 수 있는 능력, 그런 대범한 자유를 사랑하고 있지 않았던가. 그렇다면 이제 나는 그 사랑을 잃어버린 것인가. 간신히 진정한 여인은 비로소 절망에 찬 울부짖음을 멈추었으나 깊은 절망 자체마저 멈춘 것은 아니었다.

 

앞으로는 뚱뚱한 아랫배나 보기 흉하게 씰룩거리는 가슴 근육을 백주에 드러낸 것보다 더욱 처참하리라. 여인은 이 참혹한 슬픔의 수렁 속에서 자신에게 떠오른 비유가 기껏 뚱뚱한 아랫배라는 사실에 다시 한 번 더 땅이 꺼질 듯이 기가 막혔다. 자신의 평화로운 영토에서 추방당한 슬픔이 여인의 몸을 떨게했다. 가난한 이들을 위한 봉사자로서 살아감을 일생의 과업으로 받아들인 그 순간의 숭고한 희열보다도, 오래전 단 한번의 사랑을 발견하고 흙바닥에 몸을 던지게 했던 그리움보다도, 그 모욕이 동족에 의해서 가해진 것이었기에 더욱 견딜 수 없었던 모멸감보다도, 꼬마 테러리스트들의 무리 중에서 자신의 얼굴을 발견할지도 모른다는 공포와 환멸보다도, 자신의 손으로 노동하며 돌보아 왔던 무리들이 던진 돌에 맞은 듯한 절망보다도, 추악한 무지에 맞서야 한다는 본능적인 저항과 그들의 삶을 이해해야 한다는 물러섬 사이의 갈등보다도 더욱 여인의 목줄기를 물어뜯는 이빨은 바로 순수한 슬픔의 그것이었다.

 

 p.285~28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