넛지의 천재들 - 왜 그들이 손대면 팔리기 시작할까
제즈 그룸.에이프릴 벨라코트 지음, 홍선영 옮김 / 리더스북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런던 길거리에는 폭동이 끊이지 않았다고 한다. 

이럴 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일까?

 

보통 이런 문제가 발생하면 더 많은 경찰을 배치해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타라와 댄은 행동과학적 통찰을 통해 이 문제를 다르게 해석하고 해결했다.

동그란 얼굴과 커다란 눈망울의 아기들의 귀여운 모습은 보호본능을 일으킨다고 한다.

두 사람은 보호 본능을 반사회적 행동을 감소시키는데 사용하면 어떨까하는 생각을 했고 폭동의 한복판에 있던 가게의 셔터에 아기 얼굴을 그려넣기 시작했다.

댄은 동네 아기들의 얼굴이 사람들의 행동에 더 강력한 영향을 미칠거라 생각했고, 동네 아이들을 섭외하여 셔터에 그렸다.

결과는 어땠을까?

 

예상한대로 이 캠페인이 시작되고 1년 뒤, 반사회적 행동은 24퍼센트 감소했고, 5년뒤에는 65.2퍼센트나 감소했다고 한다.

이 사건이 '넛지 프로젝트'의 시작이라고 한다.

 

넛지는 팔꿈치로 슬쩍 찌르다를 뜻한다.

타인의 선택을 유도하는 부드러운 개입이라는 행동경제학적 의미로 사용된다고 하는데, 마케팅과 같은 경제적 측면에서 많이 사용된다.

책에서는 왜 그들이 손대면 팔리기 시작할까?라는 부제와 함께 비즈니스에 넛지를 활용하는 39가지 방법을 알려준다.

 

그런데 나는 책을 읽다보니 경제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모든 측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다이어트를 하거나 아침기상 습관잡기등 사람이 행동하는데는 분명 과학적인 패턴과 이유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또한 아이가 제대로 된 독서습관을 잡길 바란다거나 팀원이 제대로 적응하고 성과를 내는 방법, 내 사업이 원만하게 돌아가기 위해서도 분명 행동과학은 필요할 것 같다.



살면서 누군가를 설득 해야 하는 순간이 한번쯤은 있을 것이다.

그때 사람들의 행동 프레임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넛지가 아닐까 싶다.

책에서는 위에서 말한 재미있으면서도 효과가 있는 넛지의 사례가 많이 들어 있어었다.

아직 넛지의 개념이 어렵게 느껴지긴 하지만 연습을 통해 사람들과 나의 행동 프레임을 이해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본 포스팅은 네이버 카페 문화충전200%의 서평으로 제공 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