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의 친구 - 인생과 커리어가 바뀌는 ‘약한 연결’의 힘
데이비드 버커스 지음, 장진원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로부터 어른들은 학연지연혈연으로 말미암은 인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나 역시 사회생활에서 인맥이 얼마나 중요한 지는 뼈 저리게 체감해왔고이러한 을 설명하는 책은 이 나라 저 나라에 이루 셀 수가 없을 지경이다그런데 이 책 [친구의 친구]가 내게 새로이 다가온 것은 끈끈한 인맥이 아니라 역설적이게도 약한 연결에 대해 논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책에서 설명하듯 때로는 최근의 친구가 아닌 오래된 약한 친구가 더 큰 힘을 발휘한다가령 과거에 함께 일했던 동료와 연락이 닿아 그가 현재 일하고 있는 새 직장의 동료를 소개받는 것이 그렇다이 친구의 친구는 나의 커리어를 직접 도와줄 수도 있다이렇게 약한 끈을 이용하는 방법은 맨땅에서 새로 네트웍을 구축하는 것에 비해 빠르게 이루어지고 많은 비용이 발생하지도 않는다더 중요한 것은 나의 옛 친구이전에 알고 지냈던 그 사람과나는 서로에게 이미 한 차례 검증된 상대이기도 하다.


 


물론 내가 가진 모든 인적 커넥션은 중요하다하지만 우리는 네트워킹에 대한 생각과 방법을 바꾸어볼 필요가 있다이 세상은 6단계만 거치면 모두가 연결된다고 한다무작정 지인의 수를 늘리려고 노력하는 사람들에게저자는 과거에 어떠한 형태로든 관계를 맺었으나 잊혀져 온 사람들을 기억하게 한다이미 가지고 있는 커넥션 속 사람들과 어떠한 활동을 공유하는 다면적인 관계를 구축한다면 우리는 그들과의 유대를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다.

 

더불어 돈이든 권력든 모든 것이 그러하듯친구 역시 부익부 빈익빈 현상작가는 이를 선호적 연결법칙preferential attachment이라 칭했다,이 따라온다거대 인맥을 가진 슈퍼 커넥터들은 상대적으로 새로운 인맥을 구축하는 데에 큰 노력이 들지 않는다우리는 효과적으로 행사를 주관하므로써 친구의 친구를 적극 활용할 수 있다이 때초대 인원은 최대 6명으로 12명을 넘지 않게 하고 게스트들에게 연인이 아닌 동반자와 함께 참여하길 부탁하며집에서 초대하는 것이 편안함을 줄 수 있고 일회성 파티는 선호적 연결을 활용하기에는 부족하다.

 

온라인 커뮤니티의 지인들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낼수록 때로는 마음이 허무해 질 수 있다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첨단 기술 속에서 실체 없는 디지털 인간관계에 연연하기보다아날로그 인맥을 제대로 활용하자는 조언친구의 친구를 이용하는 약한 인맥이 강력한 힘을 가져온다는 메시지데이비드 버커스 책 [친구의 친구]를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