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면의 도시 자음과모음 하이브리드 총서 5
정진열.김형재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1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1.

우리는 세계를 인식하는 창구인 오감(보고, 듣고, 맡고, 맛보고, 느끼는) 중에서도 특히 눈을 통해서, 즉 '보는' 행위를 통해 외부 세계를 인식하고 파악한다. 그런데 여기서 '본다'는 행위는 단순히 외부의 시각 정보들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마치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처럼, 외부의 대상을 기존에 우리가 가진 인식 틀을 통해 읽고 파악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인식 틀은 부정적인 것이 아니라 사실 필수적인 것이며, 또한 신화 속 프로크루스테스의 것과는 달리 대상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형성되고 지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 우리가 보는 행위를 통해 읽고 파악하는 것들, 그러니까 우리에게 전달되는 상(像, image)들은 때때로 우리가 미처 그 대상을 판단하기 전에, 저항할 수 없는 어떤 강력한 힘으로 우리를 압도하며 전율하게 만든다. 대개 스펙타클 또는 아우라라는 개념으로 설명되는 이것은 보는 이가 가진 공고한 인식 틀(프레임 또는 편견이라 부를 수 있는)을 순식간에 깨부수고(혹은 그것을 넘어), 하나의 ‘전체’ 그러니까 말 그대로 우리 존재 그 자체로서의 본질적 부분에 순식간에 도달한다.


그러나 그러한 스펙타클, 아우라의 경험은 대개 영속적이지 않고 일시적이며, 우리가 언어로서 표현할 수 있는 것 너머에 있기에 타인에게 그 경험을 온전히 전달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어떤 두 사람이 같은 그림, 또는 같은 음악을 듣고 감동을 받더라도 그 지점이나 맥락이 완전히 일치될 수 없는 것처럼 말이다. 그리고 이러한 경험의 공유가 불가능하다는 것은 그 경험이 가진 의미를 위축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불가능성은 인간 존재에 대한 하나의 처절하게 차가운 진실, 결국 인간은 혼자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만든다.


2.

우리는 우리에게 다가온 시공간 속의 이미지들, 그리고 우리가 그것들과 함께한 순간들이 지니는 의미들을 어떻게든 조금이라도 타인에게 전달되기를 바란다. 때문에 우리는 대화를 나누고, 또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리거나 음악을 만드는 등의 행위를 한다. 그러나 사실 우리가 우리의 경험의 공유, 또는 전달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때로는 명확하고 간결한 표현을 포기해야 할 때도 있다. 예컨대 우리는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을 보고 감동할 수 있어도, 그것에 대한 구구절절한 평을 보고 같은 감동을 느끼지는 않는다. 사실 언어는 보다 명확하고 분명한 개념들을 추구한다. 우리의 삶은 그렇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언어는 영속된 시공간을 잘라 날짜와 시간을 만들고, 개념들을 쪼개고 나누어 정의한다. 예컨대 무지개의 색깔은 옛날 동양에서는 5개였지만, 서양 그리고 서양의 영향을 받은 오늘날의 우리에게는 7개로 인식된다. 이것은 언어가 필연적으로 전체, 즉 영속적이고 구분할 수 없는 어떤 존재 그 자체로서의 세계를 훼손한다는 것을 뜻한다.


3.

《이면의 도시》에서 소개된 작업들은 바로 위에서 언급한 언어의 한계를 뛰어넘어 이미지가 가져다주는 본연의 스펙타클/아우라를 또 다른 이미지들의 스펙타클을 통해 재현해내려는 하나의 시도이다. 고대의 한 철학자는 모방을 이데아의 아우라를 훼손하는 것으로 여겼지만, 사실 모방이란 저급하게 따라하는 것(imitation)이 아니라 이데아의 경험을 그 스펙타클을 재현(re-presentation)하려는 시도다. 그 시도는 우리가 언어/관념을 통해 인식했던, 그렇기에 필연적으로 틈이 벌어져 있을 수밖에 없는 물리적·관념적 공간들의 틈새 사이를 메우고 다시 조합해, 우리가 일상적으로 간과하고 지나쳤던 여백의 공간들을 강렬한 이미지로 나타낸다.


바로 위와 같은 맥락 속에서, 《이면의 도시》의 작업들은 또 다른 인식 틀들을 제공함으로써 지상으로는 고층빌딩들이 줄줄이 큰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고, 지하로는 가스관, 배수관, 지하철 등으로 거미줄처럼 촘촘하게 엮인 콘크리트의 도시 서울을 새로운 의미들로 재구성한다. 이를 통해 촛불집회, 지하철 지하상가, 주민등록증, 성매매 등 우리가 의도적으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간과하거나 금기시했던 도시의 이면은 더욱 강렬한 이미지로 노골화됨으로써, 오히려 그러한 숨겨진 이미지들이 도시의 이면에 숨겨져 있던 본질적인 요소임을 폭로한다. (물론 이것은 우리가 이러한 작업들을 통해 본질 그 자체에 완전히 다가설 수 있다는 말은 아니다. 그것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적어도 이러한 시도들을 통해 우리는 전보다 더 다양한 의미들을 생산해 낼 수 있고, 그 의미들을 통해 본질에 다가서기 위한 새로운 시도들을 하면서 또 다른 의미들을 계속해서 만들어 낼 수 있다. 요컨대 이것은 일종의 영구적인 게릴라전이다.) 그리고 그렇게 폭로된, 우리의 시야에 드러난 것들은 필연적으로 우리에게 종전까지 보이지 않던, 그러나 이제는 우리 눈앞에 드러난 것들의 의미에 대한 사유를 요구한다. 《이면의 도시》가 겨냥하는 것은 바로 이 지점이다. 감춰져 있던 질문들은 이제 우리 앞에, 우리의 두 눈에 결코 ‘피할 수 없는’ 강력한 이미지로 놓여졌다. 그렇다면 이제 우리는 그것에 어떤 답을 할 것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