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사장들이 못됐다.
헉. 울 신랑도 사장이다.
동포들끼리 서로 도울지도.. 서로 정을 나눌지도 모른다.
그저 싼 값에 많은 일 시킬려고 수준이나 기술은 중요하지 않다.
영주권에 발목잡고 거의 착취의 수준으로 일을 부린다.
한 알라스카 부족의 이야기이다.
추위를 헤쳐가며 바다와 얼음위에서 변변하지도 못한 장비로
그저 서너명 모여 자리를 옮겨가며 사냥을 한다는 것은 거의 목숨을 거는 행위이다.
며칠간 사냥이 끝나 부족이 먹을 만큼의 식량이 모여지면
그들은 그것들을 가지고 부족으로 돌아간다.
얼음 위에 사냥해놓은 것들을 풀은 후 그들은 각자 자기가 필요한 양만큼만 떼어간다.
그러면 부족사람들이 나와 서로 필요한만큼만 가져간다.
몇 명이 사냥해온 고기를 온 부족사람들이 나누어 먹는 것이다.
이것을 본 한 외지인이 물었다.
"목숨을 걸고 한 사냥인데.. 이렇게 그냥 나누기가 아깝지 않습니까?"
그들은 말했다.
"내가 어렸을 때 나 역시 이렇게 부족 어른들이 나누어 준 고기를 먹고 컸습니다.
내가 늙어 사냥을 나갈 수 없으면 그땐 또 마찬가지로 부족사람들이 나에게 고기를 주겠지요.
아깝다니요. 당치않습니다."
한국에서 디자인회사를 다닐때 사장님께서 들려주었던 이야기다.
사장님은 "우리도 그 부족처럼 버는 만큼 똑같이 나누어 가지면 어떨까?" 하셨다.
나는 막내였기때문에 어째도 내가 받는 만큼보다는 많겠다싶었다.
그래놓고 가증스럽게 "저는 좋은데, 다른 사람들은 이해못할 것 같아요." 라는 대답을 했다.
그때는 오래 기억하지 못했다.
이제야 이 이야기가 가끔 떠오른다.
그런 아름다운 공동체를 만들 수는 없을까?
모두가 적어도 남의 것을 부러워하거나 탐하지 않는...
부족한 내것에 만족하며 그 안에서도 나눌 줄 아는..
그런 공동체를 만들어 가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