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를 잊은 그대에게 - 공대생의 가슴을 울린 시 강의
정재찬 지음 / 휴머니스트 / 2015년 6월
평점 :
품절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에서 키팅 선생은 말합니다. 의술, 법률, 사업, 기술, 이 모두 고귀한 일이고 생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것이지만, 시, 아름다움, 낭만, 사랑, 이런 것이야말로 우리가 살아가는 목적이라고." -책 머리말 중에서

학창시절, 나에게 있어 시란 그저 난해하고 알아들을 수 없는 외계어를 써놓은 글이었다. 그리고 그 이해할 수 없는 외계어는 문학에 박식한 해설가에 의해 해석되었고, 그 해석본은 우리의 의식을 깨워주는 키팅 선생이 아닌, 우리의 의식을 잠들게 하는 *푸린 선생님의 의해 우리에게 전달되었다. (*푸린 : 만화 '포켓몬스터'에 등장하는 포켓몬으로서 모두를 잠재우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니 당연히 전달이 될 턱이 없다. 시의 그 아름다운 선율이 그 당시에 어찌나 자장가처럼 들리던지.. 그렇게 나의 학창시절 국어시간은 문학과 씨름한 것이 아니라, 잠과 씨름했던 시간이었다.  국어선생님 죄송합니다.

얼마 전 '죽은 시인의 사회'라는 책을 읽고, 잊고 지냈던 시를 다시 접하기 위해서 이 책을  선택했다. 책은 우리가 학창시절에 한 번쯤 들어봤을 시들을 쭉 쭉 나열하고, 그 시에 대한 정재찬 작가의 남다른 해석과 강연이 담겨있다. 한마디로 이 책은 '시 강연' 책이다. 나는 조금 전 '남다른'이라는 수식어를 붙였다. 작가의 강연은 내가 이제껏 한 번도 들어보지 못한 문학 강연이었다. 시라는 한 장르, 그리고 하나의 시에만 국한하지 않고서 작가는 한 개의 시에 여러 가지 마인드 맵을 연결하며 얘기했다.  예를 들어 김춘수의 <꽃>을 설명할 때에, 그 시를 해석하기 앞서 그와 비슷한 상황에 놓인 사람들. 그리고 그와 관련된 영화. 또 다른 비슷한 시 등을 모두 연결해, 시에 거부감을 가지고 있는 우리들에게 보다 친숙하게 다가와 시를 설명했다. 작가는 하나의 시인을 소개하는데 있어 최소 3,4개의 다른 문학과 매체를 예로 들어 시를 연관 지었다. 그렇게 나는 자연스레 오래전 난해했던 시들을 작가와 같이 하나하나 풀어나갔고 비로소 학창시절 나를 괴롭혔던 시들을 마음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공감은 공명에서 온다. 공명이란 과학적으로 말하면 어떤 물체의 진동에너지가 다른 물체에 흡수되어 그 물체가 진동하는 것을 말한다." -책 본문 중에서

공명. 한자 뜻 그대로 해석하면 남과 더불어 우는 일이라고 한다. 모든 시가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 많은 시들이 슬픔이 담긴 경우가 많다. 그 슬픔의 대상이 사랑인 경우가 많지만, 때론 잃은 친구나 가족, 조국이 되기도 했다. 이상하게 시는 짧은데, 그 여운이 길게간다. 왜 그런 것일까. 책에 소개된 시들을 쭉 읽으며 느낀 건, 시는 명확한 해답을 찾아 제시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시는 방황하고 쓰러지고 지친 모습을 있는 그대로 표현한다. 애써 태연한 척, 강한 척 어조로 쓰지만 그것이 진심이 아니라는 것을 시를 통해 알 수 있다. 그래서 그 울음에 나도 같이 슬퍼지는 것이다. 왜냐면 우리도 그와 비슷한 아픔을 겪어보기도 했으니까. 나의 나약함이 시인의 나약함 같아서. 그래서 시는 마치 나의 이야기인 양 내 가슴에서 오래 떠나질 않는다.


"내 그대를 생각함은 항상 그대가 앉아 있는 배경에서 해가지고 바람이 부는 일처럼 사소한 일일 것이나 언젠가 그대가 한없이 괴로움 속을 헤맬 때에 오랫동안 전해오던 그 사소함으로 그대를 불러보리라."

이 시의 저자와 제목은 몰라도, 내용은 한 번쯤 살면서 들어봤을 것이다. 학창시절에 들어봤거나 혹은 영화나 TV 드라마를 통해서. 이 국민 사랑고백 시는 황동규의 '즐거운 편지'이다. 이 시는 그가 18세의 나이에  쓴 시라고 한다. 고등학생은 늘 철부지라고 생각하는 어른들. 그러나 그 철부지의 손에서 저렇게 아름답고 또 절제된 시가 탄생했다. 정재찬 작가의 제1연 해석을 읽으며  '황동규시인이 표현을 아주 예쁘게 잘했구나' 라고 생각했지만 제2연을 해석을 보면서 이 시가 그저 어린 학생의 순수시라고만은 볼 수 없었다.  고등학생이 썼다고는 믿을 수 없을 만큼 황동규는 성숙되면서 현실을 직시한 사랑을 말했고, 글을 씀에 있어 나이와 경험이 필력에 반드시 영향을 주는 것만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황동규의 시를 예로 들어 말했지만, 책에 등장한 시인들은 저마다의 감성이 담긴 독창적인 시어와 어투를 통해 자신의 고충을 얘기하고 있었다. 단, 본인만의 시그니처를 넣어서.


"사랑하는 것은 사랑을 받느니보다 행복하나니라. 오늘도 나는 너에게 편지를 싸나니 그리운이여 그러면 안녕!" -유치환 <행복>중에서.

기다림. 어느샌가부터 우리는 기다림의 설렘과 기쁨을 잃어갔다. 휴대폰이 없던 시절. 집전화기가 없던 시절. 우리는 편지지와 펜 하나에 마음을 의존해야 했다. 그렇게 전한 내 마음이 상대에게 무사히 도착하기만을 기다리고, 또 그 답변의 편지가 하루속히 오기를 손꼽아 기다렸다. 그런 기다림은 힘든 시간이기도 했지만 역으로 그 기다림은 설렘이기도 했다. 적어도 기다릴 때는 그 감정이 끝이 나지는 않으니까. 난 요즘 약속 장소에 30분에서 1시간 일찍 나가는 편이다. 상대를 기다리기 전 책을 읽으면 무언가 잘 읽히기도 하고, 또 약속 장소에서의 기다림은 언제나 설레기 때문이다. 모든 것이 LTE로 돌아가는 세상. 때론 3G일때가 2G일때가. 아니 편지G일때가 사뭇 그립다.


- Written by 리딩소년
http://blog.naver.com/mora00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