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에겐 절망조차 금지되어 있다 - 키르케고르 아포리즘
쇠렌 키르케고르 지음, 이동용 옮김 /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키르케고르를 접하는데, 당황스러울 정도로 깊고 어둡다. 왜 이렇게 어두운가, 책의 17쪽에 '우리 시대'라는 단어를 읽으며, 키르케고르가 살았던 19세기 덴마크 역사까지 찾아 들여다보게 된다.(한 기사를 찾았는데 안데르센(1805~1875)의 생애 대부분은 덴마크 역사상 최악의 시기와 맞물려 있다던 문장이 보인다. 키르케고르는 1813년에 태어나 1855년에 세상을 떠났다.)


죽고 싶지만 떡볶이는 먹고 싶다던가, 행복한 일은 매일 있다던가, 따뜻하게 안아주는 느낌의 책이 한때 트렌드였던 것이 떠오른다. 취향은 아니라 굳이 읽진 않았지만, 그런 제목들을 보며 이렇게까지 안락함을 주는 책에 정신을 맡겨도 되는 걸까 의문을 품곤 했는데, 키르케고르 아포리즘의 앞 부분을 읽으며 떡볶이 생각이 자꾸만 난다.


'사람이 우울해지는 것은 오로지 자기책임(P.29)'이라고 일갈하는 철학자, 어떤데.



키르케고르는 우리에게 절망을 들이민다.
피하지 말고, 똑바로 보라고.


그래서 키르케고르의 문장들은 나의 절망의 순간들을 반추해 보게 만드는 힘이 있다. 꽤 많이 절망했었고, 한때는 죽음을 선택하기까지에 이르렀었다. 그 정도로 악바리는 없어서 결국 어찌어찌 살고 있지만, 그 당시에 너무 싫었던 절망적인 내 인생이 지금은 그렇게까지 나쁘지 않다. 그래서 더 와닿는다. 기쁨의 역치가 낮아서 사소한 일에도 기쁘다고 말해왔는데, 어쩌면 절망을 여러 번 알아버려서 그런 걸까.





하지만 제발 좀 눈을 뜨고 보라. 그대를 지배하는 모든 것들은 우연히 왔을 뿐이다.
_P.15

비극적인 것 속에는 비애도 있지만, 동시에 절대로 무시해서는 안 될 치유의 힘도 있다.
_P.77


새로운 시작을 위해 잠시 빛이 사라진다며 영화 기법인 페이드인과 페이드아웃을 말하던 책이 떠오른다. 빛이 있으면 어둠도 있고, 어둠이 있다면 빛도 있다. 부정이 있어야 긍정이 있다. 절망이 있다면, 희망도 있다.



원 저작물에 대한 호기심으로 이어지는 아포리즘


쇠렌 키르케고르에 대한 책들 역시 궁금해 검색해 보게 된다. 놀랍기도 하고, 아쉽기도 하고, 작년에 유행했던 아르투어 쇼펜하우어나, 최근 부상하고 있는 프리드리히 니체보다 선택의 폭이 많지 않은 게 아쉽다. (같은 출판사인 세창미디어에서 『죽음에 이르는 병』(2020)과 『키르케고르의 『죽음에 이르는 병』 읽기』(2024)를 출간했긴 했지만...)




이제, 세창이 쏘아 올린 작은 공으로 쇠렌 키르케고르도 유행의 반열에 들 수 있을까? 더 다양한 저서를 접하고 싶다. 철학서적을 좋아하는 한 명의 독자로 키르케고르 역시 대중들의 열렬한 관심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하고 싶다.




+
깊은 어둠에서 점점 밝아지듯, 내지 디자인이 뒤로 갈수록 점점 밝아지는 것도 이 책의 페이지를 넘기는 또 하나의 매력이 아닐까 싶다.





본 서평은 세창미디어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고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루 한 장 니체 아포리즘 - 365일 니체처럼 지혜롭게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황국영 엮음 / 동녘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편독에서 벗어나 여러 책을 탐독하기 시작한 지 1년이 되어간다. 늘, 철학 서적에 관심이 있고, 읽긴 하지만 막상 유명한 철학자들의 원 저서는 아직까지 시도하지 못하고 있다. 그간 철학이 딱딱하고 어렵다는 고정관념이 계속 박혀있어 그런 걸까. 딱딱하고 무서워 보이는 이름들─아르투아 쇼펜하우어, 프리드리히 니체, 쇠렌 키르케고르 등─에 괜히 압도당해서 그런 걸까.


철학의 진입장벽을 낮추려는 듯한 출판업계의 움직임이 보이는 듯하다. 최근 들어 철학자들의 아포리즘 책이 유행이다. 작년에는 쇼펜하우어 아포리즘 책이 도서관 대출 순위권 안에 들었는데 이에 이어 이번에는 니체의 철학이 주목받고 있다.





이번에 동녘출판사에서 나온 『하루 한 장 니체 아포리즘』은 니체의 주요 저서 다섯 권,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아침놀》, 《도덕의 계보학》, 《이 사람을 보라》,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 365개의 글들을 추려냈다. 추려낸 니체의 글과 함께 엮고 지은이, 황국영의 해설이 매 글마다 달려있는 부분이 이 책의 큰 특징.





니체의 다소 당황스럽고 사적인 이야기도 소소하게 있긴 했지만, 대체로 우리 삶에서 중요한 잠언들이 많다. 인간으로 태어난 이상, 삶의 태도, 마음가짐 등 역시 배워야 하는 영역인데, 배우지 못해 실수를 저지르고, 홀로 고통받고 그러는 게 아닐까. 철학을 좀 더 일찍 알았더라면 인생에서 방황하는 시기가 좀 더 단축되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도 늘 느끼지만, 또 니체의 글에서 혼란과 절망에서 여러 개의 답 중 하나를 익히게 된다.




'하루 한 장'이라는 제목의 표현도 그렇고, 저자가 한국인 시점으로 니체의 글을 해설해 주는 덕에 니체의 진입장벽이 꽤 낮춰준다. 책에서는 니체의 잠언이 비유와 은유가 많고, 짧고 간결해 이해하기 어려운 편이라고 하는데, 그래서 이 책이야말로 부담 없이 니체를 입문할 수 있는 책이 아닐까. 아포리즘이 원 저서에서 발췌한 글들이기에 자연스레 니체의 책들, 이 책에서 발췌한 5권의 저서들에 호기심이 생긴다. 정말 저자의 말대로 해설 없이 읽으면 어려울지 역시 궁금하고 확인해 보고 싶은 부분이다.





이 아포리즘 책을 시작으로 니체의 책들 역시 빠른 시기 안에 독파할 수 있기를 소소한 목표로 삼고 싶기도 하고, 또, 어느덧 3월이긴 하지만, 초판 1쇄가 1월 5일인 것으로 보아 1년 필사 챌린지 하기 좋은 책으로 나온 듯하다. 필사 역시 취미 중 하나인데 올 한해, 『하루 한 장 니체 아포리즘』 책으로 필사하며 니체의 철학을 오래 사유하고자 한다.





본 서평은 동녘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고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독의 리듬 (알라딘 한정판 표지)
엘라 윌러 윌콕스 지음, 이루카 옮김 / 아티초크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대수는 15년을 기다렸지만, 영화 속 단 두 문장에 홀린 이들은 20년을 기다렸을 것. 오래 기다렸습니다. 정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극히 짧고도 사소한 인생 잠언 - 마흔, 후회 없는 삶을 위한 처방
정신과 의사 토미 지음, 이선미 옮김 / 리텍콘텐츠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소[些少]하다. 


사전적 정의로 보잘것없이 작거나 적다지만, 이 사소한 것에 쉽게 흔들리고 무너지는 게 사람 마음이 아닐까 싶다.


책이라는 매체도 사실 어찌 보면 사소하다. 한 권의 책. 손에 들고 다닐 수 있고, 만 원에서 이만 원, 조금 비싸면 삼만 원 정도 내면 살 수 있다.


그렇다면, 사소함에 사소함으로 구원받아보는 것은 어떨까?



지극히 짧고도 사소한 인생 잠언 | 정신과 의사 토미 | 리텍콘텐츠

마흔, 후회 없는 삶을 위한 처방


정신과 의사 토미가 돌아왔다.


지난여름에, 같은 출판사의 『정신과 의사 TOMY가 알려주는 1초 만에 고민이 사라지는 말』이라는 책을 읽고 저자의 저서가 더욱 한국에 많이 소개되면 좋겠다고 한 적이 있다. 거의 반년 만에 나온 신간이다. 



이번 책 역시, 짧은 글을 엮은 책이라 주제가 많고 다양하다. 한 번, 죽 읽어보며 자신이 자주 느끼는 부정적인 감정을 다루는 페이지가 있다면 따로 표시를 해두고, 그 상황이 찾아올 때마다 읽어보자. 나는 왜 '이럴' 때 '이런' 생각만 들었을까? 내 부정적 생각의 원인들, 특히 내가 인식하지 못했던, 부분을 저자는 캐치해 처방해 준다. 내가 하는 생각과는 전혀 다른 시각에서 주는 답이 내 부정적인 감정이 해소해 줄 것이다.



많이 흔들리고 무너지며 살았다. 부정적인 생각이 너무 많았을 때는 너무 견디기 힘들었다. 

아직 마흔은 되지 못해 마흔의 삶이 어떤지는 모르겠으나, 사람에 많이 치여 생각이 많아진 사람은 책을 통해 임시방편이라도 편안함을 가져가는 것은 어떨까. '마음 치료제', '마음 처방전'이라는 콘셉트에 걸맞은 책이다. 예전에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명상록』을 읽으며 마음에 고요를 얻었던 기억이 있기에 더욱 괜찮게 다가온다.



정말 안좋은 생각을 많이 하는 사람이라면, 『정신과 의사 TOMY가 알려주는 1초 만에 고민이 사라지는 말』와 함께 두고 읽으면 좋을 것 같다.




본 서평은 리텍콘텐츠로부터 책을 지원받고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헤르만 헤세의 나로 존재하는 법
헤르만 헤세 지음, 유영미 옮김 / 뜨인돌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자신의[Eigen] 감각[Sinn]을 찾아 굳게[固] 잡아야[執]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