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삼관 매혈기
위화 지음, 최용만 옮김 / 푸른숲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륙의 기질이 원래 그런진 몰라도 중국 소설 상당수는 내용 전개가 비약인 경우가 잦고

워낙 많은 우연성이 가미되어 거친 질감이 느껴집니다. 

이는 대륙의 스케일(?)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민중들이 오랜 세월 고달팠던 역사 때문일 수 있다는 생각도 드는데,

황당한 세상을 오래 겪은 걸로는 둘째가라면 서러울 남미 지역의 작품들에서는

4차원적이면서도 신화적인 내용까지 자주 보입니다. (백년 동안의 고독을 생각하면 될 듯)

특히 남미 쪽은 우회적으로 표현해야 하면서도 갑갑한 상황이 지속되다보니 

'마법' 같은 형태로 이야기를 풀어내야 할 정도의 카타르시스가 필요했던 게 아닌가... 싶네요.


대표작인 <인생>을 통해 이미 세계적으로 유명해진 중국 소설가 위화의 소설에서도

대륙소설에서 보이는 전형적인 분위기는 물씬 풍깁니다. 

<인생> 못지 않게 인지도 높은 <허삼관 매혈기>는 

주인공인 아버지 허삼관이 가정을 지키고 이끌어나가기 위해 자신의 피를 파는 이야기로,

작가가 늘 그래왔듯 가족애와 문화대혁명을 비롯한 중국현대사에 대한 아쉬움이 핵심 테마입니다.


물을 많이 마셔야 피를 더 많이 팔 수 있다고 철썩같이 믿는다거나

허옥란에게 샤오롱바오를 사주고 불과 한 달만에 부인으로 맞이하는 장면,

그리고 마지막 문장 같은 걸쭉~한 내용 등은 전형적인 희극적인 요소.

반면 소설 전반에 흐르는 시대적 경제적 배경은 상당히 암울한, 비극을 희극으로 돌려 표현하는 전개 방식입니다.


20세기 후반 문화대혁명 및 먹고 살기 어려웠던 중국의 이미지와 달리

21세기의 중국은 엄청난 숫자의 마천루가 실시간으로 지어지는 등 현격히 다른 모습이 되었습니다.

따라서 전세계 모든 국가들이 중국의 급부상을 은근히 두려워하는 현재 

이 소설을 읽으면 공장 장갑을 하나씩 모아 가족들의 옷을 만드는 내용 등은 다소 이질적으로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고속성장의 빛과 그림자를 이미 잘 알고 있는 한국인이 아니더라도

중국사를 통틀어 거의 해결되는 모습을 볼 수 없었던 농민공 및 빈부격차 문제는 

휘황찬란해진 상해의 야경 바로 옆에서도 얼마든지 발견 가능합니다.

기존 작품과 달리 <허삼관 매혈기>에서는 중국 현대사의 어두운 측면이 다소 약하게, 살짝만 언급되고 넘어가는데

작가는 이 작품에서 주인공의 부성애를 비롯한 가족에 대한 사랑을 더 강조하고 싶었던 것 같습니다.


이 작품은 이번에 영화로 제작되어 1월에 개봉합니다.

강력한 티켓파워를 지닌 주연급 배우들이 상당수 출연하지만 원작 내용 자체가 밝은 내용은 아니므로 

소설 원작을 영화라는 창구를 통해 맛깔나게 살리기 쉽지 않다는 측면을 어떻게 극복해낼지, 

최근 국내 액션 영화에서 거의 원탑의 모습을 보여준 하정우가 이런 역할도 잘 소화해낼지 사뭇 궁금하네요.

 - 원작에서는 '자라 대가리' 주인공이 거의 찌질할 정도인...ㅎ

원작을 그대로 살리면 흥행 측면에선 약해질 가능성이 높은만큼 아마 원작에서는 부성애라는 모티브만 따오고 

중국현대사의 비극적 요소는 슬몃 비껴나가는 방향으로 각색되지 않았을까 예상해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