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극 2041
로버트 스원.길 리빌 지음, 안진환 옮김, W재단 / 한국경제신문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려 500여 쪽에 달하는 《남극 2041》은 남극 대륙을 위해 태어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로버트 스원이 쓴 책이다.

책의 초반부는 거의 그의 일대기라고도 할 수 있는데 '그가 어떻게 남극에 대해 영감을 받게 되었는지, 그의 영웅으로 일컬어지는 스콧과 그의 아들 피터 스콧의 이야기, 남극 탐험을 준비하는 과정' 등이 나온다.

로버트 스원은 남극점과 북극점을 탐험한 최초의 사람이라고 한다. 하지만 그 과정을 들여다보면서 든 생각은 '이 사람이 진짜 남극에 갈 수 있을까?' 였다. 그 만큼 '남극 탐험'에 대한 로버트 스원의 20대는 계획이 없고 무모했다. 

계획보다 앞선 그의 열정과 끈기가 더 크게 보여져서 무모해보였을 수도 있다. 남극 탐험 이후에 그는 남극 대륙을 지키고자  우리나라의 W재단(자연보호 활동에 주력하며 난민에게 긴급 구호물자를 제공하는 세계적인 비영리 단체)과 손을 잡고 《남극 2041》을 집필했다.

열살 무렵에 본 <남극의 스콧>이라는 영화 한편이 그의 영웅적 심리를 자극시켰고, 결국에 그는 '남극을 탐험 함으로써' 그 꿈을 이뤘다.

그리고 이제 '남극 대륙을 지키고자' 하는 목표를 향하고 있다.

'2041년은 남극을 보호하는 국제 협약이 재검토 및 조정 국면에 들어가는 시기(p.28)'이며 남극에 있는 천연자원을 쓰고자하는 세계 여러 나라들로부터 남극을 지켜내야만 하는 시기다.


어쩌면 2041년이 오기도 전에 남극의 빙하들은 모두 녹아내려 버릴 수 있다.

왜냐하면 인간의 무분별한 개발들로 지구는 이미 병들어 가고 있고, 지구온난화로 인해 남극의 빙하들은 이미 녹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책을 쓴 로버트 스원은 남극 대륙의 주인이자 지구의 주인인 '우리'가 남극을 지켜내야만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대단한 노력이 아니더라도 꾸준한 노력과 관심만으로 남극을 지킬 수 있다고 말한다.



우리가 남극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첫번째. 집에 단열재를 추가하고 연비가 좋은 자동차를 타고, 에너지 절약형 전구로 교체하는 등의

평범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

두번째. 코펜하겐 회의와 같은 행사에 환경보호의 목소리를 보태주는 것!

그리고 세번째로는 직접 그곳, 남극에 가보는 것이다.


로버트 스원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환경운동가여야만 환경 보호에 소리를 낼 수 있고, 집에 어마어마한 태양판 전지가 있어야만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우선 자기 집에 탄소 배출이 얼마나 되며 우리가 쓰고 있는 난방을 줄여보는 것(집에 단열재를 충분히 추가함으로써), 환경보호에 관심을 갖는 것이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세번째 단계인 남극에 직접 가보는 것은 '모든 사람들에게는 현실적이라 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많은 주의 사항과 대가까지 수반(p.472)'하지만 로버트 스원은 추천하고 싶다고 한다. 그곳을 방문 하는 것만으로도 '남극 옹호자들의 기운을 북돋는 필연적인 효과'를 낳기 때문이다.


《남극 2041》을 읽으면서 막연하게 관심을 가졌던 '남극의 대륙과 남극의 환경에 대해' 조금이나마 알 수 있었고, 남극 환경보호를 위해 실천할 수 있는 것들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다. 그리고 또 한번 막연하지만 남극 대륙에 가보고 싶다는 꿈을 품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