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체보 씨네 식료품 가게
브리타 뢰스트룬트 지음, 박지선 옮김 / 레드스톤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매일매일 반복되는 일상 속에서 지루함과 따분함을 느낄 때가 있다. 때로 여행을 다니면서 맛있는 음식을 먹으면서, 친구들과 수다를 떨고 취미생활을 하면서 우리는 이 따분함을 날려버리곤 한다.

하지만 이런 사소한 행복 마저도 느낄 수 없는 환경에 있다면 어떨까?


자신의 가게가 집 바로 아래 층에 있어서 일어나자마자 출근은 1분도 채 걸리지 않는다. 삼시세끼도 모두 집에서 해결할 수 있고 가게 문을 닫고 나면 다시 1분도 걸리지 않는 윗층 집으로 올라가 하루를 마무리한다. 이렇게 쳇바퀴처럼 하루하루를 똑같이 보내는 사람이 있다.

바로 파리에 사는 식료품 가게 주인인 만체보 씨다.


그는 매일 아침 3시간 거리에 있는 헝지스에 가서 신선한 과일과 채소를 공수해 온다.

그리고 가게 문을 열고 좌판을 거리에 내놓는다. 손님은 바글바글할 정도로 오지 않는다. 인근 마트나 백화점에서 깜빡한 물건들을 사러 오는 손님들이 전부다. 가끔 관광객도 온다.

만체보는 시간마다 지정된 일을 하도록 미리 설정되어있는 로봇 같다.

점심즈음 윗층에서 음식 냄새가 나면 자동으로 셔터를 내리고 밥을 먹으러 올라간다. 가게 건너편에는 구둣가게를 운영하는 사촌 타리크가 있는데 타리크는 셔터를 내리는 만체보를 보고 점심을 먹으러 온다. 그렇게 똑같은 하루하루에 따분함 조차 느끼지 않았던 만체보.

비 오는 어느 날 밤, 한 여자가 가게로 찾아와 만체보에게 사립 탐정 일을 해줄 것을 제안한다. 무척이나 뜬금없는 제안인데 만체보는 그에 응한다. 탐정 일은 간단했다. 만체보의 식료품 가게 맞은편 2층 아파트에 사는 남작가를 감시해 달라는 것.


<만체보 씨네 식료품 가게>에서는 만체보의 이야기와 번갈아서 다른 상황의 이야기도 전개된다. 또 다른 이야기도 꽤 재밌다.

한 카페에서 기사를 쓰던 여기자가 있고 그런 여기자에게 다가와 '부인, 혹시 벨리비에 씨를 기다리고 계신가요?'라고 묻는 남자가 있다. 여기자는 처음에는 고개를 저었지만 그 다음에는 카페 한 가운데 서서 다른 손님들을 훑어보는 그 남자를 관찰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두려움과 매력을 동시에 느끼며 그 남자에게 자신이 벨리비에씨를 기다리고 있다며 거짓말 한다.

그 남자는 여자를 라데팡스에서 가장 높은 건물인 아레바로 데려간다.

그리고 아레바의 맨 꼭대기 층 사무실에서 3주간 일해 줄 계약서를 내민다. 다른 사람에게 받은 메일을 벨리비에에게 전해주는 일이었고 아래층 사람들과는 이야기를 나누지 말 것이 조건에 붙었다. 급여는 솔깃할 정도였고 여기자도 이 제안을 받아들인다.


어떻게 보면 두 일 모두 평범한 일상에서는 접하기 힘든 사건이다.

다른 사람에게는 무신경하고 오로지 식료품 가게 문을 여닫는 일에만 몰두 하던 만체보씨에게 주어진 사립 탐정 일과

늘 혼자 일하며 자신을 외로운 사람이라 여겼던 엘레나 기자에게 주어진 꼭대기 층 사무실에서 오로지 혼자 있는 시간.

두 사건 끝에 만체보와 엘레나는 그 전과는 다른 삶을 살게 된다.


만체보와 엘레나 이야기가 번갈아 나와서 더 스펙타클 하게 느껴졌다. 그리고 이야기 초반부에 작은 새가 창에 부딪혀 피를 흘리며 죽는 장면은 앞으로 이 사건들이 어떻게 엮이고 전개될까, 하는 궁금증을 야기시켰다. 해피엔딩이 아닐 거라는 복선같은 느낌이 들었다. 하지만 이야기는 나름 해피엔딩으로 끝난다. 만체보나 엘레나에게 제안했던 일들이 내게 일어난 다면 나는 그 제안을 받아들일까?

그리고 그 임무로 인해 내가 바라보는 내 삶은 어떻게 달라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