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이기적in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무료 동영상 & 포켓북 제공) 2017 이기적in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이종학.윤슬 지음 / 영진.com(영진닷컴) / 2016년 12월
평점 :
품절


 

 

<이기적 in  NCS 직업기초능력> 문제집에 이어 영진닷컴에서 출판한 《이기적 in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풀어보았다.

학창시절 사회과목을 배우면 을미사변, 갑신정변, 을사조약 등 을 몇년도에 일어난 일이라고만 엮어서 배웠었다.

을미사변에 명성황후가 어떻게 시해를 당했고 을사조약은 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게 된 치욕적인 사건이라는 걸 배웠더라면 좋았을 텐데. "1895년은 을미사변이고 1905년도는 을사조약이야" 라고 재미없게 배웠던 기억이 강하게 남아있다.

달달달 외워야만 하는 게 과목이라는 한국의 주입식 교육의 폐해로 사회과목은 나와 점점 더 멀어졌다.

그 결과로 내 뇌는 수학과 과학에는 특화 되어있지만 사회과목만 보면 뭐가뭔지 모르겠고.. 도통 집중도 안됐다.

역사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건 책을 읽으면서 부터다. 처음에는 조선왕조실록을 바탕으로 만화화한 '웹툰 조선왕조실톡'을 보면서 재미를 느끼기 시작했고, 이 웹툰을 엮은 책을 읽으면서 '역사가 이렇게 재밌었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 뒤로는 현재에서 가까운 시대인 근현대사부터 관련 책들을 찾아읽기 시작했다.

그리고 위안부 문제나 독도문제와 같은 사회적인 이슈만 보더라도 역사공부가 밑바탕 되어있지 않으면 안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최근 공부하기 시작한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근현대사 뿐만 아니라 선사시대~조선후기, 일제강점기까지 전 범위를 아우른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이 취업을 위한 자격증이 아닌 한국인이라면 알고 있어야 할 지식이라는 것을 공부하면서 많이 느끼고 있다.


어차피 취득해야 할 자격증이라면 고등학교 때부터 한국사자격증에 대한 정보를 주는 것도 괜찮은 방법 같다. 몇몇 고등학교에서는 이미 시행하고 있을 거 같기도 하다.


이 문제집은 <고급편> 이어서 주요 요점과 10~20개 정도의 문제만 담고 있다. 시대 관련하여 자세한 요점정리에 집중한 문제집 같다. 예를 들어 고려시대의 석탑과 불상, 공예품들이 사진으로 선명하게 인쇄되어있다. 사진을 보고 같이 공부하니까 이해하기 수월했다. 초급과 중급은 어떤 부분에 더 초점을 맞추었을지 궁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