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의 디자인 2 Design Culture Book
조창원 지음 / 지콜론북 / 2016년 1월
평점 :
절판


 

 

 

 

우리는 살아가면서 많은 디자인을 접한다.

그건 가구가 될 수도 있고, 옷이 될 수도 있고, 음식이 될 수도 있다.

누군가에게는 실생활에 꼭 필요한 무언가일 수도 있고, 또 누군가에겐 자기자신을 표현하는 무언가일 수도 있다.   

 

Design(디자인)은 '지시하다, 표현하다, 성취하다'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에서 유래된 단어라고 한다.

이 책을 읽기 전에는 'design'은 디자이너들만이 할 수 있는 창조적인 작업 이라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책을 읽으면서 '디자인은 우리가 표현하고 성취하는 일련의 행동일 수도 있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작가는 '디자인은 단순히 보기에 예쁜 어떤 것을 만드는 게 아닌 삶의 양식과 의미를 만드는 것이라고 볼 때, 우리는 각자 자기 삶의 디자이너입니다. 문제 해결을 위해 아이디어를 실체로 구체화한다는 점에서도 우리는 매일 디자인을 합니다(p.7)' 라고 말한다.

 

책 속에 나오는 디자인들은 일상 속에서 만날 수 있는 것들이었다.

어렵지 않고 너무 예술적이지 않은, 실용적이기도 한 물건들이 많았다. 몇몇 물건들은 갖고 싶을 정도였다.

 

 

 

 

 

《위로의 디자인2》는 총 다섯챕터로 나뉘어져 있다.

 

1. 바람, 다녀가다.  2. 사라지는 것들을 위하여.

3. 나무는 우리에게. 4. 어른들의 놀이​터. 5. 잉여의 디자인.

 

 

 

 

 <2. 사라지는 것들을 위하여> 중 '크로노 슈레더(Chrono Shredder)'

 

 

크로노 슈레더는 '굴곡 많은 하루를 다독이고 위로하는 달력이자 시계(p.66)' 이다.

365일치의 종이를 넣으면 그때부터 크로노 슈레더는 작동하기 시작한다. 온오프버튼이 없기 때문에 24시간동안 쉼없이 종이를 파쇄한다. 멈출 수 없고 붙잡을 수 없는 시간을 시각화한 디자인이다.

 

크로노 슈레더를 가지고 있으면, 1분 1초 흘러가는 시간을 눈앞에서 보게 되니까 시간을 허투루 쓰지 않을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12월 31일이 되면 1년 동안의 시간이 파쇄된 종이 조각으로 남게 되는데,

쌓인 종이더미를 보면서 보람찬 한 해 였다고 생각할까, 아니면 후회스러운 한 해 였다고 생각하게 될까?

 

 

 

 

 

 <3. 나무는 우리에게> 중 현대의 타잔을 위한 '나무 호텔(Tree Hotel)'

 

 

외관부터 정말 독특한 호텔이다. 사방의 면은 거울로 되어있어서 모든 방향의 자연을 담아낸다.

이걸 보면서 혹시나 새가 나무인 줄 알고 날아오면 어떡하지?라는 생각을 했는데, 다행히도 '새들만 볼 수 있는 투명한 자외선 색상을 유리판에 래미네이트(p.128)'했다고 한다.

 

2인이 사용할 수 있고, 킹사이즈 침대를 갖춘 방과 거실, 작은 부엌과 욕실, 옥상 테라스 까지 있다고 한다.

게다가 주변 경관을 360도 감상할 수도 있다고 하니, 스웨덴에 간다면 나무 호텔에 꼭 묵어보고 싶다.

 

 

 

 


 <5. 잉여의 디자인> 중 '로스트 인 소파(Lost in sofa)'

 

 

게으름의 미학을 디자인하는 다이스케 모토기의 '로스트 인 소파'!

이 디자이너는 '슬리피 체어(Sleepy chair)'라는 소파도 만들었는데, 폭신폭신한 매트리스를 겹겹이 접어 침대+소파 형태의 작품을 만들기도 했다.

 

'로스트 인 소파'도 슬리피 체어 처럼 2in1의 기능을 하는데, 바로 소파이면서 수납하는 기능을 한다!

모든 사람들이 소파에 앉아있다가 리모콘 어딨지? 책 어딨지? 찾을 때가 있을거다.

이 소파는 모든 물건을 소파 곳곳에 꽂아놓을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책이나 리모콘은 물론 핸드폰이나 커피든 컵도 꽂아 놓을 수 있다.

너무 갖고 싶은 소파였다.

 

 

 

 

《위로의 디자인2》속 디자인 작품을 보면서 위로를 받고 공감을 받을 뿐만 아니라, 저자의 글의 느낌이 참 유쾌하고 좋았다.

 디자인을 소개하는 도입부와 끝맺음 부분에서 공감가는 부분이 많았고, 흡입력이 있는 글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저자인 조창원 작가가 에세이도 써줬으면..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만큼 글이 주는 분위기가 참 맘에 들었다.

너무 재밌게 잘 읽어서《위로의 디자인1》에는 또 어떤 디자인 작품들이 있을지 궁금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