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크릿 바디 - 우리 몸의 미스터리를 푸는 44가지 과학열쇠
의정부과학교사모임 엮음 / 어바웃어북 / 2015년 10월
평점 :
절판


 

 

의정부 과학교사 다섯분이 집필한《시크릿 바디》

《시크릿 바디》는 ​우리 몸에 대한 미스터리를 생명과학을 통해 재미나게 풀어낸 책이다.

'과학' 하면 생명, 물리, 자연 여러 분야가 떠오르는 데, 그 중 '생명과학'은 사람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한다.

 

 사람을 아프게 하는 '질병', 우리가 삼시세끼 꼬박 챙겨 먹는 '먹거리', 우리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 제일 관심갔던 '유전과 진화' 그리고 우리들의 '몸' 까지.

다섯 가지 챕터속 44가지 과학 이야기가 담겨있다.

 

 

첫 파트인 '질병' 을 읽으면서 올 여름의 최대 난제였던 '메르스' 가 떠올랐다.

정말 무서웠다. 어떻게 치료제가 없는 병이 생긴건지,, 그것도 급속도로 전염되는 병이라니!!

무언가 궁금하면 컴퓨터에 검색해서 1초만에 알아낼 수 있고, 무언가 필요하면 마트에서 1분만에 살 수 있는 21세기라지만..

그전에 우리는 너무나 나약한 '인간'이라는 존재였다.

 

 

 

유럽 중세시대에 페스트(흑사병)가 고쳐지지 않는 난치병이었다면, 21세기의 난치병은 '메르스'와 '슈퍼박테리아'가 있다.

페스트는 세균의 일종인 '예르시니아 페스티스'라는 병원균에 의해 발생한다. 쥐가 주요 감염원이다.

이 세균에 감연된 쥐의 피를 먹은 벼룩이 사람의 피를 빨면서 병이 옮겨가는 것이다. 중세시대 때는 지금보다 환경이 열악했을 테고, 질병에 대한 지식도 무지했을 테니 그 당시에는 인구의 1/3이 죽을 정도로 어마어마한 병이었다.

 

곧 항생제가 개발되면서 페스트를 치료하게 되었고, 당시의 '항생제'는 목숨을 구해주는 생명수와도 같았다.

하지만 21세기, 무분별하게 개발되어지고 투여되는 항생제.. 항생제로 병원균을 죽이면 다시 내성이 생긴 병원균이 등장하고, 또 항생제로 죽이고 이 과정을 반복하다 보면 '항생제 내성균'이 나타난다. 그리고 "여러가지 항생제 처리에도 죽지 않고 끝까지 살아남는 저항성을 가진 세균을 '슈퍼박테리아'라고 한다(p.38)"

 

얼마전 SBS스페셜에서 '항생제의 두 얼굴'에 대한 방송이 나왔었다. 5~6살짜리 아이가 매일매일 약을 먹고, 약을 끊으면 다시 아프고를 반복했다. 바로 '항생제의 내성균'이 생긴 것이다. 외국 사례에서는 어떤 약으로도 치료할 수 없는 슈퍼박테리아에 걸린 환자가 매일매일 약으로 연명하는 장면도 나왔다.

 

 

 

 

"우리나라는 특히나 항생제를 과다 사용하는 나라에 꼽힌다..

항생제 남용국가라는 불명예를 벗기 위해 정부는 항생제 과다 사용 병원의 명단을 공개하고, 공익광고를 하는 등 항생제 남용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였다.(p.42)"

 

 

 

과거에 비해 나아졌다고 하지만 아직도 항생제 과다 처방되는 것은 현실이고, 슈퍼박테리아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환자가 임의로 항생제를 중단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나아졌다고 생각할 때 항생제를 의사에 처방 없이 마음대로 끊으면, 그때부터 '항생제 내성균'이 생겨 다시 병에 걸리면 더 강한 항생제를 오랫동안 먹어야 병원균을 없앨 수 있다.

 

너무 '슈퍼박테리아, 항생제 내성균'에 대해서만 쓰다보니 언젠가 내 몸 속에도 '슈퍼박테리아' 가 등장하지 않을까?염려된다.

하지만 우리 면역계는 세균을 물리칠 수 있는 힘을 갖고 있기에, 슈퍼박테리아도 충분히 제거될 수 있는 세균이라고 한다.

다만 면역력이 떨어진 사람이나 오래 투병중인 사람들에게는 위협적인 존재다.

즉, 건강을 유지하면 항생제를 투여할 일이 없고, 결과적으로 슈퍼박테리아에 노출될 일이 없다는 거다.

 

혹 항생제를 경구 복용하거나 투여하게 된다고 해도 정량을 처방받고 잘 복용하면 이상이 없다고 한다.

의사가 잘 처방한다고 해도 혹여 과다 처방이 될지도 모르니, 환자입장에서는 수동적으로 받지 말고 능동적으로 내 병에 대해서 알아야하고 약을 얼만큼 언제까지 복용해야 하는지 잘 물어봐야겠다.

 

 

 

《시크릿 바디》는 일반적으로 접하고 있는 생명과학 주제를 술술 잘 읽히는 설명과 이해를 돕는 그림으로 풀어냈다.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남녀노소 읽어도 될 거 같다. 

우리생활에 더 밀접한 생명과학은 암기하듯 배우는 주입식교육보다는 이해하고 실천하면서 배워야 한다고 생각한다.

고등학교때 이과생이었는데 딱딱한 교과서보다 이런 재밌는 과학책으로 수업을 했으면 더 좋았겠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