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가 너처럼 좋아졌어 - 여전히 서툰 어른아이 당신에게 주고 싶은 다시 삶을 사랑하게 만드는 마법 같은 시 90편
신현림 엮음 / 북클라우드 / 2014년 1월
평점 :
고등학교 문학시간에 시를 배웠을때가 생각난다. 한페이지의 시속에서 화자의 당시 상황과 정서를 유추해볼 수 있었고,
음율도 찾아볼 수 있었다. 또 화자가 말하고자하는 주제도 시속에 담겨있다. 그 짧은 문단들 속에 많은
것들이 담겨져 있다는게, 그런 시를 쓸수 있는 시인이 참 멋져보였다. 종종 새벽에 감수성에 나도 시인처럼 시를 써보고자 했지만. 머리를 쥐어뜯기
일 수 였다...
소설을 쓰는 작가, 인문학, 철학을 쓰는 작가들도 대단하다고 느끼지만. 시를 읽을때면 시인들이 정말 대단하게 느껴진다.
짧게는 한문단 길게는 한페이지속에 말하고자 하는걸 모두 담아내니까 말이다.
<시가 너처럼 좋아졌어>는 총 90여편의 국내외 '시'를 엮어낸 책이다.
그래서 한명의 시인의 시가 아닌 여러 시인들의 시를 접할 수 있는 좋은 책이다. 이 책을 읽는 사람들은 누구나
하나이상의 자신과 공감되는 '시'를 만날 수 있을 것이다. 나 또한 공감되거나 좋은 느낌을 받은 시가 있었다.
메리 헤스켈의 '타인의 아름다움'.
타인에게서 가장 좋은 점을 찾아내
그에게 이야기해 줄래?
우리들은 누구에게나 그것이 필요해.
우리는 타인의 칭찬 속에 자라 왔어.
그리고 그것이 우리를 더욱 겸손하게 만들었어.
타인의 아름다움을 발견해내는 눈을 길러보고, 그것을 찾아 칭찬을 해주라는 것.
겸손따위는 내팽겨치고 내가 잘났다며 사는 사람들에게 좋은 교훈이 될 시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나의 좋은
점만을 내세우고 칭찬받기를 바라기보다는, 먼저 상대방의 아름다움을 보고 칭찬해줄 수 있는 마음이 대인배답고 더 멋질거란
생각도.
김영승의 '그 모든 사람을 사랑하여'.
사랑하는 사람에게는 사랑한다고 말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그건 사랑하지 않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사랑하는 사람에게 사랑한다고 말하는 것은 그 가슴속
깊은 곳에 미워하는 마음이 있기 때문입니다.
미워하는 사람에게 미워한다고 말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그건 미워하지 않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미워하는 사람에게 미워한다고 말하는 것은 그 가슴속
깊은 곳에 사랑하는 마음이 있기 때문입니다.
나는 사랑하는 사람에겐 사랑한다고 말하지 않지만
미워하는 사람에겐 미워한다고 말합니다.
그래서 내 모습이 이렇습니다.
많이 들어본 익숙한 시인 '김영승'의 시.
엔터키로 띄어서 썼지만, 실제로는 모든 문장이 붙어있어서 운율이 돋보이는 시였다.
사랑하는 사람에게는 사랑한다고 말하지 않고, 미워하는 사람에게는 미워한다고 말하는 것.
시인은 사랑하는 사람에게는 말로 표현하지않아도 알기 때문에 사랑한다고 말하지 않는걸까?
너무 사랑하고 좋아할수록 사랑한다는 말을 하는게 낯간지럽다고 느끼는 내 모습과 비슷해보였다.
그리고 진짜 미운 사람에게는 밉다고 말하지않다는 것에도 공감이 되었다. 밉다고 말하는건 그만큼 그 사람을 사랑한다는
것일거다.
진심을 몰라주는 사람들은 사랑하면서 사랑해라고 말하지않아서 섭섭해할거다.
그리고 밉다는 말을 들은 사람들은 진심인줄 알고 섭섭해 할거다. '그래서 내 모습이 이렇습니다' 라는 걸까?
<시가 너처럼 좋아졌어>라는 사랑스러운 책제목에 끌려서 읽었는데, 시를 한편두편 읽을수록 마음이 차분해지는게
느껴졌다. 이 책처럼 여러시인들의 시를 엮은 책을 자주 볼수 있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