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한민국 국회 보좌관입니다 - 300명 국회의원, 2,700명 보좌진 그 치열한 일상
홍주현 지음 / 지콜론북 / 2019년 10월
평점 :

TV로 중계되는 국회 본회의와 청문회를 본 적이 있다.
국회 본회의장에서는 주로 통과시킨 법안을 최종 의결하는데, 이 때 국회의원 간의 마찰(몸싸움)을 보고 놀랐었다.
그 다음날 신문 1면에는 온 몸이 들려서 끌려나가는 국회의원과 서로 멱살을 잡고 대치하는 모습들이 실렸다.
어린 나이에 생경한 장면들을 보며 국회의원은 고상한 직업이 아니구나, 라는걸 여실히 느꼈던 거 같다.
성인이 되어 본 청문회도 본회의장의 모습과 다를 바가 없었다.
서로 언성을 높여가며 질문만 하고 답은 듣지 않는 모습들.
자기 당 사람이면 유순하고 차분하게, 자기 당 사람이 아니면 윽박을 지르는 모습들.
변하지 않는 국회의원들의 모습들을 보며 과연 우리나라에서 제대로 된 국회의원은 존재하는 걸까, 의문을 가진 적이 많았다.
그래서 궁금했다. 국민들이 봐온 국회의원들의 모습과 일상이 차이가 있는지!
《대한민국 국회 보좌관입니다》는 실제 의원 보좌관으로 일해온 저자 홍주현이 지은 책이다.
겉으로만 봐오던 국회와 국회의원들 그리고 가까이에서 수행하는 보좌관들의 일상을 엿볼 수 있었다.

우리나라 국회의원은 약 300여명, 보좌관은 약 2,700여명 이라고 한다. 두 직업의 인원 차는 무려 아홉배에 달한다.
국회의원 1명 당, 9명의 보좌관이 붙는 셈이다.
정책, 정무, 국회의원 개인 신변, 수행비서, 행정비서 등 보좌관마다 하는 일은 모두 다르다.
얼마 전 본 JTBC 드라마 '보좌관'에서도 국회의원 밑으로 국회에 상주하는 보좌관과 지역구 보좌관이 따로 있었다.
또 그 보좌관 밑으로 일을 돕는 비서관과 비서가 있다. 이들도 모두 보좌관이라 불린다.

국회에는 지하 2층(현재는 지하1층)에 지하 통로가 있다고 한다.
지하 벙커같은 느낌일까? 궁금했다. 요즘처럼 모든 문서가 컴퓨터로 저장되지 않았던 시기에는 각종 서류나 안건들을 보관하는 곳이었다고 한다. 국회에서 회의장까지 지상으로 가는 것보다는 지하로 문서들을 들고 가는 게(특히 비나 눈이 올 경우) 더 편리해서 만들어졌다고 한다. 글로 읽으면서 대략 상상해보았지만 역시 실제로 보고 싶기도 하다.
이외에도 이런 국회의원 저런 국회의원들의 모습, 소탈한 국회의원의 옆에서 희생을 치루고 있을 보좌관의들, 민심을 반영하는 법 만들기 등 국회 속 단면적인 모습들이 아닌 다른 면들을 알게 되어서 재밌었다.
특히 나라를 위해 힘쓰는 일에 많은 보좌관들이 고군분투하는 모습들이 TV 프로그램 뒤로 힘쓰는 스태프들을 떠올리게 했다. 일선에서 보여지는 사람과 보여지지 않는 사람들에 관해서 여러 생각을 하게 하는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