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칙도, 두려움도 없이 - 20대 여자와 사회생활의 모든 것
이여영 지음 / 에디션더블유 / 2009년 9월
평점 :
절판


홈보대행사에 10년 넘게 있으면서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20대 여성들의 불안감을 보게 된다.

공부는 그 멍청한 남학생들보다 잘했으나
입사하고 보니 상급자는 대부분 남성들이고
또래들과 수다를 즐기며 동기 의식을 중시했으나
끝도 없는 상하관계에 '정치'도 존재한다.

잘할 것 같은 일은 주어지지 않고
늘 남자들은 나를 '여자'로 취급한다. 

그나마 일, 야근, 성과와 싸우며 몇년을 보냈더니
어느덧 서른에 결혼은 언제 하나 싶다. 
 

생존을 위해 일하지 않은 이 20대 여성들은
늘 뭔가 자신에게 의미있는 일을 찾고

연봉 20%보다는 자존심과 동기부여가 중요하다. 
 
 

이런 20대 여성들과 일을 같이 하면서
이들의 이런 불안감이 혼자만 느끼는 것도 아니고
그 또래들은 다 자신과 같이 똑같은 고민을 한다는 것을 알려줄 만한
무엇이 없을까 했는데 이 책이 나왔다. 

입사한지 14개월만에
뚜렷한 이유없이 관둔다는 사원이 있어
이책을 샀다.

책주기 전에 읽어봐야
한마디 더 건낼 것 같아 읽기 시작했는데
이틀만에 다 읽었다.


이여영 기자는
이제 갓 스물을 벗어나 서른으로 진입하려고 하는 4~5년차 직장인이다.
남들이 많이 해보지 못한 경험도 한 탓에
다채롭고 많은 이야기 꺼리가 펼쳐진다.

두 번의 신문사 직장 생활을 보면
아직도 우리 사회에서 저런 일들이 벌어질까 싶다가도
나에게서 멀지 않은 일들이라는 생각에 놀랍기도 하다.

그래도 이여영 기자는 계속해서 새로운 교훈을 얻으며
그 불안한 20대를 막 통과하고 있는 중이다.

이 책을 보면서
쓴 사람은 이여영 기자 한 사람이지만
난 내가 그동안 만났던 많은 20대 여성들을 만났다. 
 

그들이 했던 고민들, 사랑들, 기쁨들
모든 것이 이 책에 있었다. 

이십대를 건너는 여성이라면
이 책을 통해 든든한 유대감을 느낄 수도 있을 듯하다.

회사 안의 20대 '된장녀'들이 궁금한 40대 아저씨라도
이 책을 읽으면 그들을 이해할 수 있고
그들에게 '꼰대'로 불리지 않을 수 있는 해법이 있을 수도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골콘다
존 브룩스 지음, 이동진 옮김 / 그린비 / 200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제 위기는 늘 같은 패턴으로 되풀이된다. 그에 관한 정말로 멋진 설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규칙도, 두려움도 없이 - 20대 여자와 사회생활의 모든 것
이여영 지음 / 에디션더블유 / 2009년 9월
평점 :
절판


이십대를 건너고 있는 여성이라면 이 책을 통해 든든한 유대감을 느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열린책들 편집 매뉴얼 - 2009
열린책들 편집부 엮음 / 열린책들 / 2009년 2월
평점 :
절판


홍보 일에는 올바른 글쓰기와 교정이 기본이다. 신입사원들의 생일에 사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금난새와 떠나는 클래식 여행 1 우리가 아직 몰랐던 세계의 교양 2
금난새 지음 / 생각의나무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클래식에 호기심이 있는 독자라면 이 책을 시작하는 것도 괜찮다.

책 표지에는 없지만 금난새 씨가 직접 쓴 것으로 보이는 머리말에 보면 출판사의 요청으로 청소년들을 위한 클래식 입문서로 썼다는 얘기가 나온다. 청소년의 눈높이를 맞춰서 쓰다보니 지나친 친절함이 몇 군데 거슬리기는 하지만 평소에 클래식을 어떻게 시작해볼까 고민하는 청소년이 아닌 어른들에게도 이 책은 의미가 있다.

초중고 시절 교과서에서 봤던 이름들을 한명 한명 에피소드에 따라 성장기부터 설명을 듣노라면 왜 그 시절에는 이 분들의 이름과 사조를 기계적으로 외웠을까 싶다. 음악의 어머니, 아버지, 악성, 신고전파, 인상파 등등. 이책을 그 때 접했으면 지금까지도 이 내용들이 남아 있었을텐데 하는 아쉬움도 있다.

특히 이책의 구성에서 매력적인 부분은 각 인물마다 금난새 씨의 추천 음악이 있다. 추천만 한 것이 아니라 그 곡의 감상도 함께 실어 지금처럼 인터넷에서 대부분의 음악을 들을 수 있는 때에는 매우 유용하다. 나도 한 장을 마칠 때마다 추천 음악을 들어보곤 했다. 어디선가 귀에 읽은 멜로디들을 이렇게 다시 접하니 매우 반가웠다.

 

아쉬운 점은 내가 본 책이 재개정판 12쇄(2008년 11월 7일)인데도 오자와 문장 오류로 보이는 부분들이 많았다. 청소년 책을 만들면 이런 부분을 더욱 신경써야 한다. 게다가 금난새 씨도 이 책을 다시 검토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이 이토록 팔렸어도 이 책을 읽은 독자들의 피드백이 그만큼 없었다는 것인지 아니면 출판사가 피드백을 받고도 수정하지 않았는지는 모르겠다.

금난새 씨의 머리말 끝에 보면 "편안하고 아름다운 문체로 내용을 유려하게 가다듬어준 나은경 작가에게도 맘으로부터 깊은 고마움을 전합니다"라고 되어 있는데 문장의 아름다움 만이 아니라 교정도 철저하게 봤으면 더 좋았을 것이다.

 

 

이 책의 오류

 

28페이지: 바흐의 당숙의 이름도 '요한 크리스토프'이고 큰형 이름도 '요한 크리스토프'로 나오는데 둘이 만일 이름이 같다면 언급해주는 것이 맞다. 안 그러면 둘 중 한명의 이름이 잘못된 것으로 보인다.

 

36페이지: <드레스덴의 풍경> 그림 설명을 보면 '카톨릭 교회'라 되어 있는데 '가톨릭'이 맞고 이 책 나머지 부분에서는 모두 '가톨릭'으로 나온다.

 

131페이지: <12세 때의 멘델스존> 그림 설명을 보면'괴테와 절친한 음악가였던 첼티'라고 되어 있는데 그 뒤서 부터는 '첼터'라고 되어 있다.

 

206페이지: <바그너와 코지마> 사진 설명을 보면 '그려진 그림이다'라고 되어 있는데 그림이 아니라 사진이다.

 

207페이지: <바이로트축제극장> 사진 설명을 보면 제목에서와 본문에서 '바이로트'라고 되어 있는데 다른 곳에서는 '바이로이트'로 되어 있다.

 

261페이지: 가장 심각한 오류인데 <쉽게 풀어쓴 음악상식>에서 <협주곡의 역사>와 <협주곡의 성립> 부분의 글이 48페이지와 똑같다. 내용이 중복해서 들어간 것이다.

 

271페이지: <서양사와 음악사 연대표> 마지막 장을 보면 음악사 1969년에 '미국, 세계최초 달 착륙'이 있다. 당연히 서양사에 들어갈 내용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