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가 뭐가 무섭담 난 책읽기가 좋아
다니엘 포세트 지음, 이경혜 옮김, 프레드릭 레베나 그림 / 비룡소 / 201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교가 무섭지 않아?!

올해 초등학교 입학한 우리 지연양, 그리고 3년전 입학한 수연양...

다행히 학교가기 싫다는 이야기는 하지 않지만. 아이들에게 학교란 즐거움의 장소이기도 하지만

때로는 시험이나 선생님, 덩치 큰 친구들 때문에 가기 싫은 공포의 장소가 되기도 하지요.

학교가 뭐가 무섭담의 티보는 마치 반어법을 쓰듯 학교가 무섭지 않다고 하네요.

학교 가는 길에 만나는 옆집 개는 거대한 공룡으로, 쓰레기차는 강철괴물로,

이웃 아줌마는 마귀 할멈으로, 빵집 아저씨는 살인귀로, 지렁이는 보아뱀으로 보이기도 하면서...

아빠가 만들어준 마법칼 덕에 무섭지 않다고 하지요.

겁에 질린 눈으로 주변을 살피던 나의 어리시절도 떠오르고..

티보가 노란바둑판에서 노란색 판만 밟는 내용은

나와 나의 딸들이 그랬던 내용 그대로라 웃음도 나더라구요.

 

학교가 괴담이 되어버리지 않게 하는 것은 엄마의 믿음!

우리나라에 유독 학교에 관련한 괴담이 많더라구요.

초등학교 시절 공동묘지 전설이나 학교 동상이 걸어다니는 이야기를 듣지 않은 사람이 없을 정도고,

여고괴담이라는 공포영화가 나오는 것은

어쩌면 우리 학교의 현실이 그렇게 어둡고 무겁게 여겨져 그런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요.

학교를 다닐 만하게 하고 행복하게 하는 건 아마도 가장 중요한건 엄마의 믿음이 아닌가 싶어요.

티보의 엄마가 그러했듯이....귀신도 괴물도 믿지 않는 엄마가 믿는 단 한가지

바로 티보...우리의 아이들인게지요..

간혹 아이들을 믿지 못하고 버럭되는 제모습 반성하는 계기도 되었네요.

여튼....엄마에게는 요로코롬 생각하는 기회를 주지만..

아이들에게는 유쾌한 웃음을 주는 책이 학교가 뭐가 무섭담이었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등 통합 워크북 학교 1 1-1 - 초등 통합교과서 (바,슬,즐), 2015년용 초등 통합 워크북 2015년
지학사 편집부 엮음 / 지학사(참고서) / 2013년 3월
평점 :
절판


초등 1, 2학년 엄마들은 이번에 통합교과라는 새로운 교과서에 많이 긴장하고 또 많이 궁금하시기도 할 것 같아요. 

올해 초등 1학년 들어간 우리 작은 딸 지연양도 아직 학교에서는 교과서를 배부받지 않은 상태구요..

엄마의 궁금증과 또한 학습에 대한 도움을 주고자 입학 전에 지학사 홈페이지에서 통합교과 교과서를 구매했네요...

일단 이번 1학년 1학기에 배울 학교, 가족, 봄, 여름을 구매했는데, 교과서를 봐도 도대체 어떻게 해줘야 하나 난감하기는 마찬가지..

그래서 지학사 초등통합 워크북을 만나 보았답니다. 횡하니 그림만 가득한 통합교과 책을 어떻게 활용할지 고민해 보려구요.

통합교과가 바, 슬, 즐을 아우르는 것은 모두들 아시죠? 또 단순히 통합교과에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국어와 수학과목과도 연계가 된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먼저 통합교과 교과서와 통합교과를 살펴 보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땅꼬마의 수상한 친구들 - 2012년 독일 아동청소년 문학상 수상작 네버랜드 꾸러기 문고 45
핀 올레 하인리히 지음, 라운 플뤼겐링 그림, 김영진 옮김 / 시공주니어 / 2013년 2월
평점 :
절판


땅꼬마 프로마 세상에서 가장 특별한 친구를 만나다!! 

독일의 동화인 땅꼬마의 수상한 친구들을 읽으며 전 리듬감있는 산문시를 읽는 느낌이 들더라구요. 

언어유희 같은 말들이 오가면서 즐거운 말놀이를 하는 기분도 들었구요..

무엇보다 소심하고 엄마말 잘 듣고, 친구들이 왕따를 해도 한마디 못하는 땅꼬마 프로마가...

어느날 털이난 알에서 나온 다섯 난쟁이들과 만나 조금씩 자기를 찾아가는 모습이 너무 인상적이더라구요.

물론 부모된 입장에서 말잘 듣는 것도 좋지만.....

프로마처럼 맘에 들지 않는 아빠와 같은 옷차림과 엄마의 요리, 그리고 엄마의 규칙과 규율속에서

늘 답답하게 살아가는 프로마가...

정신나간(?) 난쟁이들과 함께 하면서 스스로가 원하는 모습을 찾아가는 것은 정말 통쾌하고 기분이 좋더라구요.

우숑우숑하면서 하고 싶은 것을 마음껏 하고 언제나 기분 좋은 난쟁이들은 어쩌면...

프로마와 우리 아이들의 마음속에 사는 자유로운 영혼이 아닌가 싶었답니다.

 

언어유희, 즐거운 펜화, 이야기와 그림이 너무 경쾌한 동화.

제목부터 범상치 않은 땅꼬마의 수상한 친구들...

이야기의 일러스트도 너무 재미있고 기발하였고..오히려 많은 색이 쓰이지 않은 펜화가 이야기 전달을 더욱 재미있게 해주는 것 같더라구요.

프로마가 엄마 몰래 마음속으로 모으는 단어들 처럼....혼자만의 독특한 언어나,

모습이나 상황을 나타내는 다양한 단어들...

난쟁이들은 아기 같은 혀짧은 소리까지 너무 즐거운 언어의 향연이었답니다.

작가도 작가지만 번역하신 분의 센스도 참 좋은 것 같아요^^

 

우리 아이들 가끔은 우숑우숑...하고 싶은 일을 찾아가봐요.

이거하지마라 저거 하지마라...

어쩌면 프로마의 엄마의 모습, 프로마를 놀리는 친구들의 모습이

우리주변에서 너무 흔하게 보는 모습인지 몰라요.

그렇지만 그러한 상황에서도 프로마가 자기가 하고 싶은 것을 찾아가는 것은 참 인상적이었어요..

다섯명의 수상한 친구들인 난쟁이들은 바로 울 아이들의 마음의 소리겠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역사를 품은 8가지 그림 이야기 재미있는 이야기 살아있는 역사 16
김종란 지음, 김홍모 그림 / 어린이작가정신 / 201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속에 담긴 우리 역사 이야기 

우리가족은 워낙 다니기를 좋아하는데...그럴때 마다 거의 사진을 기록으로 남기게 되요.

몇 년이 흘러간 후 사진을 훑어 보며 지나간 기억을 되새기는 마냥,

과거 우리 선조들이 남겨놓은 그림을 읽으면 그 시간의 역사가 느껴지게 되더라구요.

우리 역사를 품은 8가지 그림이야기는

그림속에 담긴 그림의 탄생 배경, 그리고 역사적 배경, 소소한 그림의 이야기까지 드려주어요.

여기에 그치지 않고 그림속의 역사적 사실을 다시 한번 다지게도 하네요.

 

교과서나 자료에서 봐오던 그림의 뒷 이야기... 

진경산수화나 반구대 암각화, 몽유도원도, 단원 풍속도 등...우리가 흔히 아무 생각 없이 봐왔던

그림속 이야기를 자세히 살펴 봐요.

단순히 그림을 감상하는 것이 아니라 그림속의 이야기를 읽는 기분이 드는 책이더라구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춘기로 성장하는 아이 사춘기로 어긋나는 아이 - 아이의 사춘기가 두렵고 불안한 엄마를 위한 고민해결서
강금주 지음 / 북클라우드 / 2013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질풍노도의 시기, 내 아이에게도 사춘기가 다가온다.

우리집 순둥이 큰딸 수연양에게도 슬슬 사춘기의 그림자가 다가오네요. 이제 10살이 되었거든요.

그렇다고 삐뚜루 나가거나 문 쾅쾅닫고 엄마에게 퉁명스럽게 이야기하는정도까진 아니지만,

아 이녀석 제법 머리가 굵어진 티를 내는 구나 싶게, 자기 의사표현도 표현하고 삐치기도 잘하네요.

저의 그맘때를 생각해보면 사소한일에도 까무러치게 행복했다가...

또 사소한 일에도 나락으로 떨어지는 듯한 절망감도 느껴다가...절망 말 그대로 기복이었던거 같아요.

물론 시기는 훨씬 늦게 나타났지만요.

요즘 아이들은 사춘기의 시기도 앞당겨지고,

감정의 기복이나 사고의 다양성이 정말 가늠할 수 가 없겠더라구요.

그런 시기가 내 딸에게 다가온다고 생각하니 준비를 해야겠다 싶더라구요.

그래서 요책을 만나 봤어요.

 

아이의 자존감 키우기, 부모의 권위 키우기, 소통하기

사춘기란 것은 성장기간 중 누구나 겪어야할 시기임에는 분명해요.

한바탕 감기처럼 쉽게 지나가기도 하고, 또는 호되게 앓아 누울 정도로 앓기도 하죠.

사춘기로 성장하는 아이, 사춘기로 어긋나는 아이라는 책을 통해..

아이들의 성장통을 최소화하고, 또 아이와 부모의 관계를 조율하는 방법을 고민해 보게 되네요.

부모의 무조건적인 신뢰도 부모의 무조건적인 권위도 답이 아니라고 하네요.

아이의 자존감을 키우면서 부모역시 부모의 권위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데요.

옳고그름에 대한 잣대를 어느정도 제공해주고,

아이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주며 아이에 대한 사랑을 토대로 아이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네요. 이를 통해 아이와의 소통이 가능한 것이구요.

아이만을 위한 삶이 아닌 부모의 삶 역시 아이에게 수긍시키고 현실을 받아들이며

긍정적인 자아정체성을 확립하게 하는 것 역시 이시기에 해야할 일 같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