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실패를 믿지 않는다 - 오프라 윈프리의 일과 성공과 사랑
로빈 웨스턴 지음, 이정임 옮김 / 집사재 / 200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신의 토크쇼 방청객들에게 2만달러가 넘는 자동차를 선물했다고 신문에 난 기사를 보고서 알게된 오프라 윈프리 그녀에 대한 일대기적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그녀의 토크쇼를 보지 않았지만 솔직하고 감성적인 성격에 미국인들의 호응이 크게 맞아 떨어지는 모양이다. 그녀가 오늘날 각종 매스콤에 들락거리고 독신이며 천문학적인 부를 거머쥔 흑인 여성으로서 영향력이 높이 평가되는 이유는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기 때문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삶에 좋은 영향을 미치기 위해 노력하기 때문이었다.
50대를 넘으면서도 아직 결혼을 하지 않았고 아이를 원치 않으면서도 세상의 불후한 어린이들을 양육하고 후원하는 관리인으로 자처하는 그녀의 모습은 처음에는 이해가 되지 않는 모순을 느꼈는데, 10대 성장기적 불행한 추억들과 가난했던 어린시절을 알게되면서 오히려 성공적인 인생을 살아가는 그녀의 모습이야말로 21세기 여성의 참 존재 이유를 보여주는 것처럼 보였다.

거친 학대와 성폭행을 겪으면서 10대의 반항기적 기질은 버논과 젤마 부부를 만나면서 엄격한 가정교육과 훈육, 그리고 진심어린 애정과 보살핌으로 적극적으로 학교 생활에 빠져들기 시작한 것이 그녀의 인생에 있어서 큰 터닝포인트 였다.
방학중에도 매일 새로운 단어 5개를 암기하고 한달에 네다섯권의 책을 읽도록 하고 독후감을 쓰도록 하는 가정교육은 참으로 대단해보였다. 그녀가 지독한 독서광이 된 배후에는 어릴적 이런 교육들이 큰 역할을 했으리라 생각한다.
한 아이의 부모로서 나 역시 책읽기를 좋아하지만, 아이가 자연스럽게 책을 읽고 자신의 생각과 상상력을 무한대로 표출할수 있는 능력을 얻기를 간절히 바라게 됐다.

토크쇼에 나온 그녀의 모습은 뚱뚱한 거구의 몸매였는데, 그녀가 학창시절에는 미인대회에 우승까지 한 경력이 있었다는 것은 의외의 사건이었다. 물론 미국은 미인지상주의인 우리나라와는 달리 오프라의 유머감각, 지성미, 자신감에 큰 점수를 매겼다.
미인대회의 우승은 미디어의 거장이 된 그녀를 이끌도록 작용한 조그만 인연이 시작됐다. 미녀선발대회를 후원한 라디오 방송국에서 아르바이트를 하게됐고 대학에서는 화법과 드라마를 전공으로 공부했다.
비록 과거는 불후했지만 버논과 젬마 부부가 그녀를 보살피기 시작하면서 시작된 행운은 토크쇼의 1인자가 될때까지 장애로 불릴만한 역경은 없어보였다. 소수계 우대정책으로 방송국에 채용되면서 방송생활을 시작했고 아나운서, 리포트 과정을 거치면서 거침없는 자연스런 화법과 감정이입이 토크쇼의 진행자로서 더할나위없는 강점임을 확인시키게된 동기를 갖게 됐다.

오프라가 뚱뚱해진 이유는 처음 토크쇼를 맡아 진행할때 사귀던 남자친구와 헤어지면서 생긴 스트레스를 먹는 것으로 달래면서 생긴 변화였는데 다이어트와의 전쟁은 그녀의 일대기적 모습을 지켜보면서 재미있는 헤프닝이란 생각이 들었다. 다이어트에 성공하기도 했고 다시 원래의 뚱뚱한 모습으로 돌아가기도 했고 출판사, 방송스튜디오를 거머쥔 그녀는 자신의 모습을 미디어를 통해 자연스럽게 공개시키는것을 주저하지 않았다. 
미국과는 달리 한국은 토크쇼가 없다. 연애인들이 나와서 쇼를 하는 라이어티쇼 문화라서 미국처럼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고 공감하며 웃고 눈물짓는, 때로는 방청객이나 출연객을 상대로 욕을 하고 싸우기도 하는 그들의 문화가 자칫 이상하게는 보이지만 오히려 미국이기에 오프라 윈프리가 있게 된 배경이 아닐까 생각했다.

나는 이 책을 통해서 엄격한 가정교육과 훈육의 중요성, 자녀의 관심과 애정이 중요하단 점을 느끼게 됐고, 오프라의 지치질 모르는 열정과 낙천적인 삶의 자세, 다른 사람들의 행복을 자신의 기쁨으로 받아들이는 이타적 삶의 철학을 배웠다.
토크쇼의 여왕인 오프라의 과거부터 지금까지 그 모습을 보고 싶다면 꼭 오프라 윈프리의 이야기를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