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공지영 지음 / 푸른숲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를 얽매었던 세상의 모든 것들로부터 벗어나 사람과 사람사이에

진실되게 "사랑"할 수 있었기에 "행복했던 시간" .

여기 한 명은 자신을 도와준 여자의 집을 털고, 그 딸아이를 강간하고 사형을 기다리는,

사형수이다.

그리고 또 한 명은, 부자에, 유학을 다녀온 교수이다. 부 명예 지위를 모두 가졌지만 불행한 한 여자이다.

이 두명의 사랑은 얼핏 이뤄질 것 같지도 않고, 이뤄져도 "불행"할 것만 같은 만남이다.

 

그리고, 이 주인공들의 조건이야말로

우리가 줄거리를 추론하게 하는, 그리고 주인공들의 성격과 인격마저 감히 가늠하게 하는

"기준"이 되어왔다. 우리가 세상 속에서 보는 "눈"으로.

 

하지만 이 소설을 읽는 순간, 세상을 보는 그런 "눈"은 여기서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알았다.

한 사형수가 있다. 그리고 독자들은 이미 그가 왜 사형수가 되었는지 안다.

그에게 혐오감이 들 것이다. 그러나 사형수의 어린 시절이 담긴 "블루노트"를 읽는 순간,

가슴에 뭔가 울컥 차오른다. 불행하고 힘들었던 어린 시절, 그를 사형수로 만들게 한

이 불행한 운명은 그 어린시절부터 차곡차곡 방향대로 온 건지도 모른다.

그는 단지 한 명의 사람일 뿐이었다. 사람들이 겪는 사랑의 배신, 우정의 배신, 버림받는 일,

세상에 혼자만 있다는 느낌  이 흔한 일들이 ,오늘날 그를 사형수로 있게 한 운명의 톱니바퀴를

차례차례 돌렸던 것이다. 그는 세상에 미련이 없이 죽는 "내일"을 기다리는 사형수였다. 그녀를 만나기전까진.

그녀는 모든 것을 다 가졌으나, 실은 가진 것이 없는, 사형수인 그와 우리와 별 다를바 없이 나약한 인간일 뿐이다. 그녀 또한 자신의 인생에서 사랑의 부재를 느끼고 자살을 몇 번이나 시도한다.

이런 두 남녀가 만났다. 세상에 미련이 없이 빨리 죽고 싶어하는 두 남녀가.

 

사형수와 자살을 시도한 여교수의 만남.

분명 평범한 만남은 아니다. 그러나 이 평범하지 않은 '조건'을 떠나 일상적인 만남과 가장 큰 차이가 있다면

이들은 "가면을 벗고" 만났다는 점이다.

처음부터 가면을 벗진 않았다.

사회의 관습대로, 그네들이 살아온 인생의 방식대로 서로에게 서로의 가면을 보여줬었다.

그는 잔혹한 사형수의 가면을,  그녀는 당당한 여교수의 가면을.

하지만 그들은 곧 그럴 필요를 느끼지 못하게 된다.

그들의 만남은 '이해관계'를 떠난 진정한 인간의 만남이었기 때문이다.

사실 그는 단지 사랑하는 아내의 수술비를 마련하기 위해 도둑질하다

친구의 배신으로 강간범과 도둑의 누명을 쓰고, 그 훔친 돈으로 아내의 수술비를 구해 아내마저 빼앗긴 불쌍한 사내일 뿐이다.

그리고 그녀 또한 교수가 될 생각 없이 방황하다 집안의 재력으로 교수가 되고

모든 걸 다 가졌지만 실은 인간의 사랑을 그리워하는 나약한 여자일 뿐이다.

 

이 둘은 이런 진실된 만남 속에서 사랑을 느끼게 되고

'살고 싶다'는 생각 또한 가지게 된다.

 

그러나 결국 사형수는 사형당했다.

남은 건 그녀뿐이다.

하지만 그녀는 죽지 않고 살아 남는다. 그는 죽었지만 "사랑"은 그대로 가슴 속에 있기 때문이다.

 

진실된 두 남녀가 사랑하게 되는 과정에서 배울 것이 많다. 용서, 진실, 사랑, 위선, 가면 등 인간의 본성에 대해 많이 생각해 보게 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