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수 (양장) - 어느 살인자의 이야기
파트리크 쥐스킨트 지음, 강명순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읽는 순간 손에서 떼지 못할 것이다.

흡입력이 강한 이 소설의 매력은 시각이 아닌 '후각'에 의한 묘사가 주를 이룬다는 점이다.

독자들은 마치 자신이 살인자 그르누이가 되어 실제로 "냄새를 맡는다"는 착각을 하게 될지도 모른다.

시각적인 묘사로써만 그를 우리 자신과 분리시켜 관찰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만큼 흡입력이 강한 소설이다.

 

그르누이의 이야기, 살인이 시작된 것은

그의 불행한 탄생에 기인했다. "사랑"이 없는, 가장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진리에 의해

살인을 저지르는 그르누이.

어머니는 교수형 당하고 냄새가 존재하지 않게 태어난 그르누이는

"인간의 냄새"가 존재하지 않아 다른 "인간"들로부터 거부당한다.

그것이 이 모든 불행의 시초이다.

인간은 사랑하며 서로 의지하며 살아가야 하는데, 그는 갓난아기때부터 인류에게 주어진 가장 큰 혜택인

"사랑"이 결핍되었으니 그의 성장이 어땠을 지는 아직 그르누이에 대해 모르는 사람들도 추측할 만 하다.

 

그가 사람들에게 배척당하고 사랑받지 못하는 이유

"냄새"가 없기 때문에,

그는 끊임없이 향기를 만들고 개발한다. 하지만 그는 곧 깨닫는다

가장 매력적인 향기는 바로 "인간의 향기"란 것을.

우리 인간이 창조한 모든 만물이 그러하듯 무에서 유가 아닌,

유에서 유, 즉 다른 것들로부터 뺏어서 우리에게 맞게 '창조'한 향수.

그 향기는 본래 꽃이나 동물들의 것이었다.

결국, 그는 인간의 향기를 만들기 위해 인간을 죽일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는 인간 중에서도 "사랑스러운 인간의 향"을 내뿜는 소녀들을 차례차례 죽이고

그 소녀들의 향을 모아 "세계에서 단 하나밖에 없는, 그 향을 맡은 사람은 누구든지 향의 주인공을 사랑할 수 밖에 없는 향수"를 만들어 낸다.

그 향수를 뿌린 그르누이는, 심지어는 살해된 소녀의 아버지에게도 사랑을 받는다

아버지는 그를 증오하면서도 사랑할 수 밖에 없다.

그에게선 사랑하는 "딸의 향기"가 난다.

 

그러나 향수의 위력이 사라질 때 즈음

그는 소녀의 아버지를 비롯한 , 조금 전까지도 자신을 사랑했던 사람들에게 잔혹하게 살해를 당한다.

죽는 그에게서는 어떤 후회나 절망도 보이지 않았다.

자신이 그토록 간절히 염원하던 "인간의 사랑"을 잠시나마 받았기 때문이었을까.

 

그르누이의 "결핍된 천재성"과 '사랑'. '인간' 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생각하게끔 만드는 책,

 " 향수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