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젠가는 미국에 살고 싶다. 공부를 할 수 있다면 좋겠다. 여기 한국은 무척 안전하고 평화롭지만 그래도 한번쯤은 떠나고 싶다. 그런 마음으로 최근에는 회화 학원에 다녔다. 영어를 더 잘하고 싶었다. 그리고 학원을 다니는 동안 내가 이상한 실수를 자주 한다는 걸 알아냈다. 나는 동사 변형을 잘 못시킨다! 복문이거나, 부사가 너무 많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 주어와 서술어의 거리가 멀 때 특히 그렇다. 너무나 오랫동안 배우고 써먹어서 전혀 문제가 아니라 생각했던 문법이 실제로 말할 때는 장애물이 되다니 실망스럽다.


아마도 말할 때는 듣거나 읽거나 쓸 때보다 월등히 빠른 사고 속도가 필요하기 때문에, 주어와 시제와 의미와 상황에 맞춰서 동사를 변형시키는 데 드는 수고를 감당할 여력이 없는 것 같다. 수차례 같은 실수를 반복하고 나서는 왜 영어가 이렇게 비효율적인 구조를 가져야만 하는지 엄청 짜증스러워졌다. 


영어의 서술어는 한국어의 서술어와는 전혀 다르게 움직인다. be동사가 복잡다단하게 변하는 양태는 독일어나 프랑스어와 비교하자면 무척 양호한 수준이지만 그래도 한국인 입장에서는 별 이유도 없이 사람 귀찮게 하는 것 이상으로는 평가하기가 어렵다. 그리고 왜 3인칭 단수가 주어일 때는 s를 붙여야만 되냔 말이다. 주어가 단수여서 s를 못 붙이면 서술어에라도 붙이고 싶은 그 저의는 s에 대한 편집증이나 스토킹으로밖에 안 보인다. 그리고 또, 3인칭 단수 변화는 과거 시제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can이나 would 따위의 조동사가 쓰이는 문장에도 마찬가지도. 그리고 또, 흑인들은 올바른 문법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사 변형을 무시하거나 be동사는 is로, 부정형은 ain't로 통일해버리기도 한다. 같은 언어 속에서 서술어가 이렇게 다양하게 취급되는 것은 이상한 일이다. 나는 왜 공통 언어의 사용자끼리도 다른 문법을 사용하는지, 그리고 또 시점이나 문장의 종류마다 새로운 규칙이 적용되는지 고민하기 시작했다. 이 고민이 진짜 얼마나 길었는지 모른다. 잘만 하면 논문도 쓸 지경이었다. 그러나 그럴싸한 아름다운 규칙을 발견하지 못했기 때문에, 나의 탐구는 점점 심처까지 뻗어나가 결국에는 문법의 존재 이유에까지 이르고 말았다.


문법이란 의사소통이 가능할 수 있도록 언어 속의 요소들이 관계를 맺는 규칙이다. 그 규칙이 태초에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는 몰라도, 그것은 도저히 자연발생했다고 단언하기 어려울 정도로 인위적인 형태를 갖고 있다. 가끔씩 예외적인 경우가 있긴 하지만 대체로는 일관적이고 합리적인 성향을 따르는 것이 특히 그렇다. 설계자나 전능자에 버금가는 누군가가 있는 것도 아닌데 그것이 사용자 모두에게 받아들여지고 통일된 양상으로 전달되었다면 반드시 그것을 가능하게 한 어떤 강력한 힘이 있어야만 한다. 그 힘은 무엇인가? 언어의 목적이 의사 전달이라는 것을 고려하면, 문법이 탄생하고 전염되는 가장 큰 이유는 그것이 의사 전달을 더 쉽게 만들기 때문일 것이다.


의사 전달이 쉬우려면 문법은 더 적은 노력으로 더 많은 의미를 전달해야 한다. 바꿔 말하면 그 문법을 사용하기 위한 비용보다 편익이 커야 하는 것이다. 아, 여기까지 생각하고 나서는 대강 감이 오는 것 같았다. 인간의 삶은 늘 그런 식으로 효율적인 방법을 선택해 왔다. 말하자면, 영어의 동사 변형에 대해 명확한 설명을 찾을 수 없다면 그것은 인간 사회가 늘 비용효율적인 방법을 찾아 발전해왔던 자연스러운 흐름을 따랐다고밖에는 설명할 수 없을 것이다!


한국어는 주어에 따라 서술어를 변형시키지 않고, 영어는 변형시킨다. 서술어 변형에 따른 비용과 편익을 비교하자면, 한국어의 경우 '비용 > 편익'인 반면 영어는 '비용 < 편익'이 성립한다. 한국어는 '들'을 명사 뒤에 붙임으로써 복수 명사와 단수 명사를 구분하므로 발음의 측면에서 무척 분명히 구분이 가능하다. 그러나 영어는 한국어보다 연음도 많고, 명사 뒤에 s만 달랑 붙여서 복수인지 표시하니까 발음이 분명치 않거나 서술어가 s 발음으로 시작하는 경우에는 주어의 단수 여부를 전달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래서 한국어는 구태여 서술어 변형이라는 복잡한 문법을 채택할 편익이 비용보다 훨씬 적고, 영어는 편익이 더 컸을 것이다.


시제까지 변형되는 경우(예를 들어 과거동사)에 단수 변형을 시키지 않는 이유 역시 같은 논리로 설명할 수 있다. 과거시제로 만들려고 이미 서술어를 한 번 변형시켜 놓고 3인칭 단수 여부까지 따지라면 너무 수고롭다. 회화는 읽기나 쓰기보다 뇌가 훨씬 격렬하게 돌아가야 하니까 그런 정도의 작은 복잡성 증가가 대단히 많은 비용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조동사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흑인 문화권에서 서술어를 최대한 간단하게 사용하려는 것도 같은 이치가 아닐까? 그들은 서술어 변형의 편익이 비용보다 크다는 것이 본능적으로 동의할 수 없었을 것이다.



나는 인어공주를 동화책으로 먼저 봤지만 디즈니의 애니메이션도 몇 번 봤다. 인어공주의 이름이 애리얼이라거나 꼬리가 초록색이거나 결말에서 물거품이 되지 않는 것은 오리지널 디즈니다. 그러나 디즈니 버전에서 가장 좋은 것은 아무래도 OST다. 나는 OST가 너무 좋아서 어린 나이에도 영어 가사를 홀랑 외웠었다. 특히, 세바스찬이 부른 under the sea에는 지금까지도 나를 설레게 하는 화려함이 있다. 


세바스찬을 연기한 흑인 가수는 이렇게 노래한다.

"Such wonderful things around you, what more is you looking for?"


그땐 몰랐어도 저건 틀린 문장이다. 미국 가수 Aqua는 under the sea를 리메이크하면서 저 부분을 what more are you looking for?로 고쳐 불렀다. 


이토록 놀라운 일들이 네 주변에 가득한데, 대체 뭘 더 원하는 거야?


세바스찬이 춤추고 노래하는 아름다운 바다로부터, 에리얼은 결국 떠난다. 낯선 세계로 손 뻗는 것이 그녀에게 주는 편익이 더 크기 때문이다. 나는 아마 계속 영어를 배우고, 또 새로운 세계를 꿈꿀 것이다. 그것은 is를 are로 고칠 수밖에 없는, 타인을 향해 말을 걸기 위해 내가 들여야 하는 수고의 일부다. 내 주변에 이토록 놀라운 일들이 가득해도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