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진과 유진 푸른도서관 9
이금이 지음 / 푸른책들 / 2004년 6월
평점 :
절판


<유진과 유진>, 청소년성장소설이다. 우연은 아니지만, <개밥바라기별>, <완득이>를 읽고, 이 책을 접하니, 또 다른 의미가 있었다.
동명이인인 ‘유진’이 유치원 때 겪은 아동성폭력이란 사건이, 중학교 2학년이 된 두 소녀에게 어떤 영향으로 남았는지를 보여주는 성장기 소설이다.
같은 일은 겪었지만, 전혀 다르게 반응한 부모들로 인해, 두 유진은 전혀 다른 삶을 살았다. 물론 어린 아이였을 때의 아픈 기억들이 완전히 사라졌다고 할 수는 없지만...
큰 유진과 작은 유진의 시각에서 전체 소실이 진행된다.
큰 유진은, 자신의 상처를 알고, 그 상처가 자신의 잘못이 아니라는 것도 자연스럽게 받아들인 반, 작은 유진은 부모로부터 강요된 기억의 제거를 통해, 유치원 때의 시간을 도려내 진체 살아왔다. 그러다가 두 유진이 같은 반이 되면서, 아픈 기억들이 서로에게 드러나고, 그 드러남을 통해서, 조금씩 치유되는 과정이 다루어지고 있다.
그 과정 속에서의 두 유진의 갈등, 그리고 부모와의 갈등이, 허구적으로 다가오지 않고, 바로 내 곁에서 일어난 것처럼 묘사되고 있다.
아직은 초등학교 6학년 아들을 둔 아버지로써, 가슴 깊이 각인될 정도는 아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식 키우는 부모로써, 아이들을 어떻게 키워야 할지, 더욱 더 생각하게 하는 내용들이 많았다. 특히 아이들의 생각을 조금이라도 이해하려는 시도가 더 많이 필요하다는 부분에서...
“...문제는 그런 감정이 충동적이고 일시적이라는 것이다. 나는 어른들이 일상에서도 그 사실을 까먹지 않았으면 좋겠다. 종교를 떠나 ‘범사에 감사하라.’는 성경구절을 어른, 특히 부모가 되려는 사람들이 지켜야 할 제1 수칙으로 삼게 했으면 좋겠다. 장담하건데, 그러면 청소년 문제가 반으로 줄어들 것이다. 문제 학생 뒤에는 반드시 문제 부모가 있는 것이다. 이런 나도 알고 있는 것을 왜 어른들이 모르는지 모르겠다.”(p.117)
그러면서도, 두 유진의 부모의 모습에서, 나는 과연 어떤 유진의 부모를 닮았을까, 하는 질문을 하게 되었다.
하지만, 머리로 평가하는 것이 아닌, 마음과 실천으로 동조되는 부모가 누구인지, 아직도 잘 모르겠다.
마지막으로 인상 깊은 글귀가 있다.
“시작은 누구 때문이었을지도 모르겠지만 결국 자신을 만드는 건 자기 자신이지, 살면서 받는 상처나 고통 같은 것을 자기 삶의 훈장으로 만드는가 누덕누덕 기운 자국으로 만드는가는 자신의 선택인 것 같아.” 작은 유진에게 춤을 가르쳤던 희정이 했던 말이다.
아마도 이 말은 작가가 청소년들에게 하고 싶은 말일 것이다. 그리고 나도 하고 싶은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