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의 금서
김진명 지음 / 새움 / 2009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작가의 상상력과 선견이 얼마나 뛰어나야 하는지 잘 보여주는 책이라 하겠다.
"대~한민국"을 연호하면서도, '한'(韓)국인으로 살면서도, 단 한번도 생각조차 하지 못했던, '한'(韓)이란 단어의 유래에 대해서 작가는 뛰어난 상상력과 역사성으로 접근하고 있다(마치 이 글이 사실처럼 여겨질 정도로...).
<천년의 금서>는 나의 관심밖의 책이었다. 그러다가 유연하게 김진명 씨의 인터뷰 기사를 읽게 되었다.
"조선이라는 이름이 기록상에 처음 등장하는 건 기원전 3세기 무렵. 하지만 이 한이라는 국호는 기원전 9세기 무렵의 유력한 기록에 나온다. 그런데도 우리는 일본인들이 그어놓은 금을 한 발짝도 넘어가지 못한 채 우리 고대국가는 고조선이라고만 알고 있다. 대한민국의 한이 어디서 왔느냐고 물으면 삼한이라고 대답하는 게 고작이다. 그러나 이 삼한이 어디서 왔는지는 누구도 알지 못한다. 나는 오래전부터 우리나라의 국호인 한이 어디서 왔을까 하는 의문에 사로잡혀 한이라는 글자를 담고 있는 이 세상의 갖가지 오래된 기록들을 찾아헤매 왔다. 지구상의 온갖 서책을 다 뒤진다는 각오로 고군분투하던 내게 윤내현 교수의 중국 문헌에 대한 조언은 큰 도움이 되었다. 이 추적의 결과는 놀라운 것이었다. 기원전 7세기 무렵 편찬된 사서삼경 중의 한 권에서 나는 우리의 조상 한후(韓侯)라는 왕을 찾아낼 수 있었고, 후한의 대학자 왕부가 이 한후를 분명 우리의 조상이라고 확인한 저작과도 만날 수 있었다. 뻥 뚫린 상태로 있던 우리의 고대사에 고조선보다 훨씬 이전에 존재한 나라의 확고부동한 실체가 등장한 것이다. - 김진명"
 
한 여교수의 죽음과 또 다른 여교수의 실종으로 야기된 미스테리에 '정서'(책의 주인공)는 관여하게 되는데...
한국, 중국의 역사, 그리고 그 역사를 둘러싼 암살, 감추려는 자들과 밝히려는 자들의 숨겨진 진실게임.
 
사실성과 상상력이 적절하게 조합되어서, 궁금해 본적도 없었던, 하지만 알아야만 했던, 내용을 접하게 되었다.
중국과 일본은 없는 것도 있는 것처럼 만들어, 역사를 왜곡하며 가르치고 있는데, 우리나라 사학계는 있는 것마저도 안 가르치려 드니(한단고기, 단군세기 등), 어찌된 일인지도 모르겠다. 역사에 관심이 많은 나로써는 무척이나 흥미롭게 읽었던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