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적뒤적 끼적끼적 : 김탁환의 독서열전 - 내 영혼을 뜨겁게 한 100권의 책에 관한 기록
김탁환 지음 / 민음사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가이자, 한국과학기술원 문화기술대학원에서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가르치는 김탁환 교수의 책 이야기다. 김탁환 교수 자신이 살면서 읽은 책들 가운데 추리고 추려서 100권을 소개한, 책 소개서라고나 할까...
매일 새로운 책들이 쏟아지고 있는 이 시대에, 어떤 책을 읽을 것인가, 하는 고민은 책을 조금이라도 좋아하는 사람들이 겪는 고충일 것이다.
이때 가장 안전한 방법은, 익숙하게 알려진 고전이나 거대 서점과 출판사들의 광고를 그대로 수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조금만 더 깊이 책을 접하고, 가슴으로 끌어 들이려면, 책벌레라고 불리는 사람들의 책 소개에 귀를 좀 더 기울이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이다.
타천, 자천 책벌레들은 많다. 그리고 우리 주변에도 찾아보면, 꽤 많은 사람들이 책과 함께 살고 있다. 이 책의 저자 김탁환 선생도 그러한 사람들 중에 한 사람이다. 그리고 김탁환 선생은 다양하고 범위가 넓은 책읽기를 이 책을 통해서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은 크게 10장으로 나누어져 있다.
1. 예술이여 인생이여, 너희 얼굴 참 곱구나. 2.지금은 잠시 ‘잃어버린 것들’을 만지작거릴 시간. 3. 그리하여 비일상적인 일상들. 4. 보이지 않는 것까지도 볼 수 있는 그대의 이름, 시인. 5. 누가 나를 그곳으로 데려가리오. 6. 농도 진한 한국인의 피. 7. 사실 혹인 상상, 그 혼미한 경계선에서. 8. 삶의 지침을 가르쳐 주는 사람, 사람들. 9. 읽어야 할 책이 많기에, 써야 할 글이 넘치기에, 삶은 결코 지루하지 않다. 10. 과거와 미래가 담긴 ‘과학’이라는 이름의 도서관.
저자는 각 장의 제목과 미묘하게 이어가면서 책에 대해 말한다(내가 느낀 부분을 짤막하게 정의해 본다. 저자의 의도와는 전혀 다를 수 있지만...).
1장에서는 삶을 살아가는데 의미로 다가 온 책에 대해서, 2장은 삶의 폭을 넓혀주는 책에 대해서, 3장은 삶의 일탈에 대한 책에 대해서, 4장은 시와 시인과 시집에 대해, 5장은 삶의 여유와 자연을 다룬 책에 대해서, 6장은 삶을 이어주는 역사에 대해서, 7장은 역사에 대한 곁눈질이라고나 해야 할까? 그리고 8장은 삶의 지침이 되는 책에 대해서, 9장은 진정한 책읽기에 대한 책 소개, 그리고 10장은 다가올 책 세계에 대한 기대감이라고 할 것이다.

많은 책을 읽고 그 책들에 대해서 쓰는(요약 또는 느낌, 서평 등등) 도서의 특징은, 읽는 사람이 긴 시간을 들여 읽지 않았더라도, 마치 그 책들을 조금 전에 만나 본 듯한 느낌을 준다는 것이다. 그리고 저자가 읽고 만난 책들을 소개한 그 책을, 읽은 사람들도 소개된 책을 한번은 만나고 싶다는 욕구를 충동한다는 것이다.

<뒤적뒤적 끼적끼적>에는 100권의 책을 소개하고 있다. 물론 그 100권은 저자의 개인적인 이유와 목적이 있기 때문에 접하게 된 책들일 것이다. 그럼에도 수많은 책들이 쏟아지고 있는 시대에, 누군가 먼저 읽고 그 만남을 다른 사람에게 소개할 수 있다는 것은, 알차게 정리된 안내서를 받아든 기분이라서 왠지 모를 흐뭇한 만족감에 젖어들게 한다.

저자는 자신이 만난 100권의 책을 소개한다. ‘소개한다.’는 표현이 진부하지만, 저자는 마치 자신이 알고 있는 친한 사람 또는 익숙해진 경험을 다른 사람에게 입에 침이 마르도록 이야기하고 있는 느낌이다.
물론 100권의 책들 중에는 내가 만나본 책도 있지만(대부분은 낯선), 나의 만남과 저자의 만남이 어째서 전혀 다른 느낌인지, 참 부럽기까지 하다. 그것은 바로 책을 대하는 자세가 다르기 때문이 아닐까?
<뒤적뒤적 끼적끼적>에는 100권을 소개한다고 되어 있지만, 실재로는 300-400여권의 책이 언급되고 있다. 저자의 방대한 독서량과 그 내용들을 담아내고 있는 지식의 폭이 너무나도 부럽다.

저자가 소개한 책들 중에 개인적으로 몇 권 추려보았다.
<부덴브로크가의 사람들>(토마스 만) 이 책은 믿음사에서 2권짜리로 나와 있어서, 쉽게 만날 수 있다.
아니 에르노의 책들은 꼭 한번 시간을 내서 읽어 보고 싶은 책으로 꼽을 수 있겠다(단순한 열정, 아버지의 자리, 부끄러움, 어떤 여인).
특히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월식>은 꼭 구입하고 싶지만, 인터넷의 서점들과 중고서점 모두 품절되어 쉽게 구하기가 어려워 더욱 더, 묘한 흥분을 자아낸다.
<임진왜란 해전사>(이민웅), <핑거 포스트, 1663>(이언 피어스), <아집과 실패의 전쟁사>(에릭 두르슈미트) 등도 나의 독서수첩에 함께 참여할 수 있었으면 한다.

작가와 함께 100권의 책을 만났다. 물론 내가 직접 만나지는 못했지만, 친한(?) 지인을 통해서 소개받고, 지금부터라도 100권을 잘 이해하고 더 알고 싶은 생각을 갖게 된다.

박지원의 시집 <말똥구슬>에서 저자가 인용한 구절이 마음에 깊이 남는다.
“말똥구리는 제가 굴리는 말똥을 사랑하므로 용의 여의주를 부러워하지 않고, 용 또한 자기에게 여의주가 있다 하여 말똥구리를 비웃지 않는 법일세.”(p.16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