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살아계실 때 함께 할 것들
신현림 지음 / 흐름출판 / 2011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엄마에 대한 소중함을 일깨워주는 책은 일전에도 몇 번 만나보았다. 엄마와 가장 친한 것같은 존재가 딸이면서도 가장 자주 다투는 존재도 딸이라는 것을 대변하듯 전세계의 모든 엄마를 가진 여성들이 엄마와 화해하지 못해 후회하고 답답해하지만 결국 엄마를 받아들이고 나서부터 진정으로 엄마를 이해하고 사랑하게 되었다는 <엄마 미안해>라는 에세이부터 시작해서 엄마를 잃어버린 후에라야 엄마의 인생에 대해 돌아보고 엄마를 진정으로 그리워하기 시작했다는 <엄마를 부탁해>라는 소설까지. 이번에 만나게 된 시인 신현림의 엄마에 대한 에세이는 표지의 그림부터가 따스하다. 파아란 하늘 위에 펼쳐진 노란 유채꽃의 빛깔 그리고 그 위에 마주 잡은 모녀의 두 손까지. 열 달 동안 나와 한몸이었던 엄마를 통해서 이 세상의 봄부터 사계절을 만끽하기 시작하고, 엄마를 통해서 세상에 나오게 된 우리들이지만 실상 엄마가 무엇을 좋아하는 지 엄마는 늘 그저 옆에 있었기에 소중함을 모르고 살아간다. 작가는 엄마를 잃고 난 뒤 3년 동안이나 좋은 딸이지 못했던 것에 대해서 앓았고, 그래서 아직 엄마를 잃지 않은 사람들에게 그리고 잊고 사는 사람들에게 '나중'이란 없으니 오늘 더 사랑하라는 메시지를 전하고 싶은 마음으로 이 에세이를 쓰기 시작했다고 한다. 엄마와 사랑을 공유하기 위해서 함께 해야 할 것들 30가지를 보면서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제목만 보고, '아, 그래도 나는 거의 다 했네!' 하지만 이 또한 얼마나 어리석은 생각일까? 아무리 100가지를 같이 하고, 1,000가지를 같이 한다 한들 어떻게 언젠가는 이별해야 할 엄마를 보내면서 나는 자식의 도리를 다 했다 할 수 있으며, 후회가 없을 것인가? 아무리 천 가지의 효도를 했던 자식이라도 단 하나의 못해드린 것이라도 목에 가시가 걸린 것처럼 내내 남아 마음에 한으로 사무칠 수가 있는 것을. 특히나 엄마와 정말 친구처럼 가까운 나에게는 더 그럴 것만 같다.

 

하지만 아무리 엄마와 친한 나라고 해도 엄마의 인생 역경과 고뇌는 다 이해할 수가 없고, 엄마에게 아무리 잘 하려고 해도 때때로는 모진 소리 할 때가 있고 그래도 나를 딸이라는 이유 하나만으로 이해해주고 용서해주는 엄마에게 늘 고마움을 느낀다. 엄마가 아파 병상에 누워 있는 사람들, 엄마를 일찍 잃은 사람들에 비하면 정말 나는 크나큰 축복이다. 엄마와 많은 것들을 공유하고 누리며 지내왔다는 것도. 엄마를 아직 다 이해하지는 못했지만, 엄마에게 완벽히 잘 해드리진 못했지만 언제까지나 자랑스러운 엄마의 딸로 살아가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