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종이 여자
기욤 뮈소 지음, 전미연 옮김 / 밝은세상 / 2010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오랜만에 읽은 소설. 평소에 소설 읽기를 즐겨 하지 않는 나이지만, 기욤 뮈소의 소설은 한 두권 빼고는 다 읽어봤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나 역시 전 세계에 많은 팬을 거느리고 있는 기욤 뮈소의 팬 중의 한 명이다. 그렇다고 열광적인 팬은 아니지만...표지부터 상콤했던 이번 책. <종이 여자> 사놓은 지는 꽤 오래 되었는데, 두꺼운 책의 두께에 짓눌려 계속 차일피일 책읽기를 미루고 있었다. 요즘 자기 계발서류만 읽어 왔기 때문에 오랜만에 소설에 푹 빠져들어 즐거움을 찾으며 휴식을 취하고 싶었다. 역시나 기욤 뮈소답다고 해야 할까? 그의 소설에 등장하는 스릴러 적인 요소와 반전은 항상 소설의 재미를 배가 시켜준다. 또 기존에 읽었던 소설들과 다르게 이 책은 어두운 부분이 더 적다고나 해야 할까?
사랑도 잃고 폐인으로 살아가는 베스트 셀러 작가 톰 보이드. 그는 상상력도 고갈되어 다음 소설을 쓰지 못하고 있었다. 그런 그에게 소설 석 여주인공이 나타난다. 톰이 계속해서 소설을 써서 그녀 빌리를 허구의 세계로 돌려 보내야 한다는 설정. 인정하고 싶지 않지만 사랑에 빠지는 둘. 그리고 그들의 이야기를 더 돋보이게 해주는 톰의 친구 밀로와 캐롤의 사랑 이야기 등이 숨막히게 펼쳐진다. 기욤 뮈소의 책은 언제나 재밌게 읽지만, 리뷰는 잘 쓸 자신이 없다. 그냥 그대로 느끼는 수밖에. 톰이 책을 완성하고 나서 빌리도 영영 허구의 세계로 돌아가 그들의 사랑은 이루어지지 않는 줄 알고 아쉬워할 뻔 했지만, 역시 결말은 기욤 뮈소 답게 해피 엔딩.
이번 책에도 한국과 한국의 독자들을 사랑하는 기욤 뮈소의 마음이 담겨 있는지 한국의 어느 장소와 한국인 여대생이 등장한다. 이런 요소들로 하여금 더 익숙해지는 기분이라고나 할까? 스포일러성 짙은 줄거리 글은 쓰지 않아야 겠다. 나름 감동적이었다는 것. 그리고 감기로 인해 잔뜩이나 우울한 주말로 마무리 지을 뻔 했던 주말이 그래도 이 소설로 인해 즐거웠다는 것!
- 본문 구절 중 일부 -
* "근본적으로 책이란 게 뭘까? 종이 위에 일정한 순서에 따라 글자를 배열해 놓은 것에 불과해. 글을 쓰고 나서 마침표를 찍는다고 해서 그 이야기가 존재할 수 있는 건 아니야. 내 책상 서랍에는 아직 출간되지 않은 미완성 원고들이 몇 개나 들어 있어. 난 그 원고들이 살아 있는 거라 생각 안 해. 아직 아무도 읽은 사람이 없으니까. 책은 읽는 사람이 있을 때 비로소 생명을 얻는 거야. 머릿속에 이미지들을 그리면서 주인공들이 살아갈 상상의 세계를 만드는 것, 그렇게 책에 생명을 불어넣는 존재가 바로 독자들이야." (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