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약소국 그랜드 펜윅의 뉴욕 침공기 그랜드 펜윅 시리즈 1
레너드 위벌리 지음, 박중서 옮김 / 뜨인돌 / 2005년 6월
평점 :
절판


이래저래 바쁘다는 핑계로 책을 사고 나서 한참 후에 읽게 되었다. 이 책이 내 책장 구석에서 먼지를 뒤집어 쓰고 있는 사이에 표지도 바뀌고, 신문에 광고도 나왔다. 북한 핵실험을 인용한 외국의 어떤 서평과 함께...

이 책은 유쾌한 정치풍자 소설이다. 냉전시대의 어디쯤인가를 시대배경으로 그랜드펜윅이라는 가상의 약소국을 등장시켜 국제 정치를 유쾌하고 발랄하게 묘사했다. 안타까운 것은 현실의 정치지도자들은 이 책에 나오는 사람들처럼 명랑하고 건전하지 않다는 것이다.

책에 등장하는 그랜드펜윅은 아주 이상적인 나라다. 비록 왕정이기는 하지만 계급 사이의 대립이나 갈등도 없이, 서로가 조화롭게 자신들의 위치를 지키며 사는 사람들의 나라다. 비옥한 토지라는 하늘의 선물 덕분에 먹고 살 걱정이 없고, 거의 500년 동안 역사의 부침 없이 평화롭게 살 수 있는 지정학적 축복도 받았다. 아~~ 이런 나라에서 살고 싶다.

하지만 멜서스의 망령 때문인지, 역시 이곳에서도 인구 증가로 경제적 문제가 발생하고, 패전을 전제로 한 미국과의 무모한 전쟁을 결정하기까지의 과정은 말 그대로 황당하다. 결국 쿼디움 폭탄이라는 핵무기를 능가하는 가공할 무기를 미국으로부터 빼앗아 이것으로 강대국들을 협박(아주 순수한 의도에서)하여 경제적인 문제도 해결하고 더 나아가 평화로운 세계 체제를 구축한다. 

약소국에 살고 있는 우리 입장에서 보면 통쾌하다는 생각도 들지만 한편으로는 현실에서 언제나 약자일 수 밖에 없는 우리의 처지가 서글퍼 지기도 한다. 그래서 그런 서글픔을 떨쳐버리기 위해 핵무기 보유하려는 나라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그렇다고 우리도 핵무기를 개발하거나 무한정 군사력을 높여야 할까? 그건 정답이 아닐 것이다. 경쟁적인 군비증강이 우리에게 되돌려 준 것은 전세계적 규모의 전쟁 뿐이었다.

물리력의 사용없이 평화를 유지하는 현명한 방법을 찾을 수 있는 힌트가 이 책 속 어딘가에 있지 않을까.  책의 마지막 장 제목이 떠오른다.

그리하여 모두모두 행복하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테 클럽 1
매튜 펄 지음, 이미정 옮김 / 황금가지 / 2004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기대가 크면 실망도 크다는 말이 현실로 느껴진 책!

오랜만에 소설을 집어 들었다. 학생 때는 주로 역사소설이나 추리소설만 읽는 독서편식증 환자였고, 직장생활을 하면서 자의반타이반으로 읽던 자기계발서에 질려가고 있을 때 선택한 책이 <다 빈치 코드>였고, 그 다음 선택한 것이 이 책이다. 
이 책은 <장미의 이름>, <다 빈치 코드> 등의 역사추리소설과 종종 비교된다. 결론부터 말하면 <장미의 이름>과 비교하지 마라. 역사적 배경과 사실에 대한 묘사, 지적 만족도가 떨어진다. <다 빈치 코드>와 비교하지 마라. 이야기의 긴장감과 흡인력이 약하다. 많은 구설에도 불구하고 <다 빈치 코드>는 단숨에 읽게 만드는 이야기 구조가 있고, 솔직히 말해 재미있다. 하지만 이 책 1권은 지루하고 2권은 맥이 빠진다.
추리소설이라면 끝까지 긴장감을 늦추지 않도록 이야기를 끌고 가야 하는데, 1권에서 일어나는 살인 사건은 긴장감을 느끼지 못하고 덤덤하게 받아들이게 된다. 사건이 해결되는 결말과 범행 동기에 대한 3인칭 시점의 설명은 맥이 빠진다. 범인이 직접 고백하는 형식이었으면 어땠을까... 특히 그 시대의 보스턴과 하버드 대학에 대한 설명과 묘사가 부족해 전체적인 시대 분위기를 충분히 느낄 수가 없었다.
이 책은 번역소설의 한계를 여실히 드러낸 대표작이다. 주로 오탈자에 대한 지적하는 독자들이 많은데 솔직히 편집자도 사람이니 700여 쪽에 달하는 책에서 오탈자 있는 것은 이해한다. 하지만 내가 산 책은 판권에 전면개정판 7쇄로 되어 있다. 초판 1, 2쇄나 개정판 1, 2쇄에 오탈자가 있는 것은 이해 할 수 있지만 초판과 개정판을 합해 12쇄나 찍은 책에 이 정도양의 오탈자라면 직무유기다. 
그 다음은 번역의 문제다. 번역은 제2의 창작이라고 했던가 원문에 충실할 것인가, 아니면 원문에서 벗어나더라도 자연스러운 번역을 할 것인가. 이것은 번역자들이 부딪히는 근본적인 고민일 것이다. 하지만 번역자는 이 중 하나를 선택할 수밖에 없다. <단테클럽>의 번역자는 후자를 택했어야 한다. 원작은 소설의 배경이 되는 19세기식 문체를 많이 사용했다고 한다. 이것을 한글로 살리는 것이 과연 가능할까? 가능하지 않기에 후자를 택했어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출판사의 문제다. 특정 출판사를 매도하려는 것은 아니지만 역사추리소설로 분류되는 책들 중에서 구설수에 휘말리는 책을 펴낸 출판사들을 보면 상업성이 짙은 출판사들이다. G, S, R 등등. 그에 비해 O, H, M 등에서 나온 역사추리소설들이 판매량은 적지만 좋은 평가를 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오역이나 불성실 번역에 대한 얘기가 거의 없는 이유는 왜일까?
하지만 이 책도 좋은 평가를 받을만한 것이 있다. 바로 책의 외형이다. 먼저 표지가 고급스럽다. 뽐나게 들고 다닐 맛이 난다. 들고 다니며 읽기 좋을 만큼 책의 크기도 적당하고 350쪽짜리 양장본임에도 가볍다. 실용적인 면에서 이 책에 최고 평점을 주고 싶다.
그리고... 단테의 <신곡>을 읽고 싶다.
이제 또다른 역사추리소설을 찾아 떠나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