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사마리아인들 - 장하준의 경제학 파노라마
장하준 지음, 이순희 옮김 / 부키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나쁜 사마리아인.
성경에 나온 착한 사마리아인의 이야기를 알아야 이 책의 제목을 이해 할 수 있겠네요.
강도를 만나 거의 죽게된 사람을 도와주는 사마리아인이 나옵니다. 그는 어려움에 처한 이웃을 도와준 착한 사마리아인이죠.
그럼 나쁜 사마리아인은?
마치 착한 사마리아인처럼 어려운 나라를 도와주는 척하지만 실제로는 자국의 경제적 이익을 위해 어려운 나라를 그대로 어려운 상태로 유지시키고자 하는 경제 선진국들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바로 이 책의 주제가 되겠네요.
미국판의 부제(The Myth of Free Trade and the Secret History of Capitalism)처럼
자유무역 이론과 자본주의 발달사에 대해 나쁜 사마리아인들이 어떤 거짓말을 하고 있는지는 보여줍니다.
그리고 그들이 거짓말을 하고 있다면, 진실은 무엇이고 더 나은 세상을 위해서 어떻게 해야하는지도 말하고 있습니다.


(
요즘은 미국발 경제 위기로 한풀 꺽였다지만) 여전히 그 위용을 자랑하는 신자유주의 사상이 판치는 세상에서
이러한 사실들과 주장은 지적 균형을 잡아줍니다.

또한 보통 비주류가 주류에 도전할때 그러하듯이, 저자가 제시하는 증거들은 장황하면서 명쾌합니다.
선진국의 경제발전사, 세계화, 시장개방, 외국인투자, 민영화, 지적재산권, 민주주의와 경제발전, 문화와 경제발전 등
우리가 상식적인 수준에서 진실이라고 알고 있는 것들이 얼마나 많은 헛점을 가지고 있고 사실과 다른지 조목조목 짚어나갑니다.

그렇다면 과연 패러다임의 전환이 일어날 수 있을까요?
이런 류의 책들을 읽을때마다 드는 의문중 하나이지만, 왜 이런 '사실'들이 비주류일까 하는 점입니다.
아마도 '진리의 문제'가 아니라 '이익의 문제'이기 때문이라는 생각도 해봅니다. 많은 사람들이 진리보다는 이익을 쫓기 때문이겠죠.
그래도 시민으로써 유권자로써 진실에 조금더 다가가려는 노력이 세상을 조금씩이라도 유익한 세상으로 만들어가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아쉬운 점이라면, 결론.
책을 읽어가면서 좀더 경제학자다운 결론을 원했는데, 예상했던대로 도덕주의에 기댄 좀 정치적인 결론이어서 아쉽습니다.
결국에는 진실을 아는것이 (경제 선진국이든, 개도국이든, 후진국이든) 우리 모두가 잘 살게 되는 길이라는 주장의 결론을 좀더 학문적으로 끝마쳐야 (반대자를 포함한) 모두에게 설득력이 있을테니깐요.


그래도 만족스러운 책입니다. 쉽게 읽히고, 논리와 증거도 명확하고. 번역도 매끄럽고...
저자의 다른 책들도 읽고 싶어지게 만드는 그런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