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람 공간 건축 - 인문학으로 다시보는 공간
양용기 지음 / 크레파스북 / 2022년 4월
평점 :
"건축의 출발점도 도달점도 사람이다." 건축계에서 최고의 영예로운 상인 프리츠커상을 수상한 세계적인 건축가 프랭크 게리(Frank Gehry)의 말이다. 건축이 사람을 향할 때, 그리고 사람이 건축을 향할 때, 건축은 우리가 살아가는 일상 속에서 다양한 의미를 지니게 된다.
21세기에 들어서 건축과 사람, 공간에 대한 개념도 조금씩 변하고 있다. 건축은 삶 속에서 사람과 공간 사이의 상호 작용을 디자인하는 것이다. 건축에는 산업과 예술이 결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미관에 속하는 주변 풍경과 시설의 기능적인 부분 또한 결합되어 있다. 분명 높게 쌓아 올려 웅장하고 멋진 건물도 의미 있지만, 건축의 가장 근본은 공존이다.
건축은 다른 분야와 비교했을 때 스케일이 큰 만큼, 폐기물의 양 또한 엄청나다. 특히 새로운 건축물을 짓거나 낡은 건축물을 없앨 때 생기는 폐기물은 재활용이 힘들고, 매립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은 더욱더 큰 문제가 된다. 주변의 많은 것들을 인간의 편의에 맞추고 건축을 할수록 지구의 부담은 더욱 커진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의 보금자리를 책임지는 건축에서 비용과 효율만 따지는 것이 전부일 수는 없다.
지구는 인간이 필요 없을지 모르지만 인간에게는 지구가 필요하다. 지구가 번영할 때 인간도 번영했고, 지구가 흔들릴 때 인간도 흔들렸다. 또한 지구는 인간보다 수많은 종을 먹여 살리고 수많은 종을 굶겨 죽이기도 했다. 지구는 인간을 가질 수도 있지만 버릴 수도 있다. 인간의 행동은 지구의 미래가 아닌 인간의 미래를 결정하는 것이다.
건축과 관련된 사람이든 아니든 모두가 경각심을 갖고 건축과 개발에 따른 환경오염에 대해 생각해 줬으면 한다. 이제 건축과 사람, 환경의 조화를 통해 다채로운 답을 제시하고, 사람과 환경과의 공존을 고민한 건축을 통해 진정한 건축의 의미를 생각해 볼 때가 왔다. 하루빨리 지속 가능한 개발과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미래가 오기를 바라며, 아직은 불편하지만 건축으로 사람과 공간, 자연과의 관계를 변화시키려고 노력하는 모든 사람들을 응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