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상대는 추첨으로
가키야 미우 지음, 이소담 옮김 / 지금이책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을 들었을 때는 연애와 결혼에 대한 고찰을 담은 에세이인 줄 알고 넘겨버리려다가

책 소개를 보고 소설임을 알게 되어 무슨 내용일까 호기심이 일었다.

추첨맞선결혼법. 저출생대책으로 나온 법으로써 25세에서 35세까지의 미혼남녀를 무작위로 추첨해서 맞선을 보게 한 뒤

결혼까지 이끌겠다는 것이다.

얼핏 들어도 예사롭지 않고 어이없는 내용이기에 현실적이진 않지만 책 속에서는 어떻게 다뤄질지,

그리고 이 법으로 어떤 일이 벌어질지 호기심을 자극했다.

 

책에 등장하는 인물은 스즈카케 요시미, 후유무라 나나, 미야사카 다쓰히코, 이렇게 3명.

이 3명에게 추첨맞선결혼법은 최고의 이슈이지만 이 법에 대한 각자의 생각은 너무나도 다르다.

추첨맞선결혼법을 엄마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즉 인생의 돌파구로 생각하는 요시미가 있는 반면

이 법이 시행되기 전에 남자친구와 결혼하려 했건만

남자친구로부터 결혼 의사가 없다는 말을 듣고 이 법을 인생의 재앙으로 여기는 나나도 있다.

그리고 여자에게 인기가 없는 다쓰히코는 여자를 만날 수 있는 좋은 기회로 여긴다.

결혼이라는 사적인 일에 정부가 개입한다는 것이 얼토당토않은 소리지만

만약이라는 가설 아래 이 법이 시행된다면 나는 어느 선상에서 이 법을 바라볼까 상상하게 만든다.

 

완전하고도 완벽한 법은 없었다. 거절당하는 횟수에는 제한이 없지만 거절하는 횟수는 3회까지만 가능하기에

3회에 이르러 결혼과 테러박멸대를 두고 고민을 하기도 하고, 이것을 빌미로 상대방으로부터 협박을 받기도 한다.

마지막의 마지막까지 법에 의해 맞선 장소로 나오게 되는 이는 이른바 너도나도 싫어하는 사람만 남아

법이 만들어진 이유를 무색하게 만들 정도로 거절도 만남도 하지 않는 상태가 되어버리기도 한다.

문제점이 발생될 때마다 세칙이 추가되었고, 세칙이 추가될 때마다

이 법의 본질은 저출생대책이였던가 세금 부과였던가 아니면 군대 구축이었나 갸우뚱하게 만들었다.

저출생대책이라는 목적 아래 시행된 이 법은 과연 목적 달성에 이바지할 수 있을까?

 

책에서 다루고 있는, 결혼 상대는 추첨으로 한다는 추첨맞선결혼법이 현실적이지 않다고 웃고 넘길 수도 있지만

만혼과 저출생은 일본에만 해당되는 문제는 아니기에 다 읽고 나서는 이 내용이 가볍게만 다가오지 않았다.

물론 작가도 가볍게 쓸 의도는 물론 사회문제 직시나 풍자를 담으려고 한 것 같지는 않다만.

현실에서 발생되고 있는 문제를 중심으로 글로 풀어내는 작가의 생각이 신기하고도 기발해서

이 작가의 다른 책도 읽어보고 싶어지게 만들었던 '결혼 상대는 추첨으로'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