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선의 영역
최민우 지음 / 창비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주인공 '나'의 할아버지는 앞날을 내다보는, 예언을 하는 사람이었다.
그 예언이란 본인도 모르는 사이 내뱉는 불길한 앞날에 대한 것으로 예언으로 말한 건 하나도 빠짐없이 일어나고야 말았다.
그래서 나는 벌어질 일은 어떻게서든 벌어진다는 운명론을 그대로 받아들이기로 한다.
그리고 할아버지는 내게 "만나서는 안 될 사람을 만날 거다. 소중한 걸 잃게 된다. 힘들 거다.

용기를 잃지 마라. 도망치면 안 돼."라는 예언을 남기고 돌아가셨다.

 

그 이후, 나는 사회인이 되어 취업 준비를 하는 여자친구 '서진'과 연애 중이다.
여자친구의 면접일. 결과가 좋지 않았는지 연락이 없다.

다음날 오전까지도 연락이 없다가 퇴근 무렵 여자친구로부터 집으로 와달라는 전화가 온다.
그리고 찾아간 여자친구의 집에서 그녀의 그림자가 없어졌음을 알게 된다.
할아버지의 예언 속 만나서는 안될 사람이라는 게 서진인 걸까? 소중한 걸 잃게 된다는 건 그녀의 그림자를 말하는 걸까?
아님 또 다른 나의 소중한 것을 말하는 걸까? 그녀의 그림자는 어떻게 찾아야 하는 걸까?

 

중학교 때였나? 지금은 기억도 나지 않는 수학 용어를 배우면서 실선이라는 건 수많은 점으로 만들어진 점선과도 같다고 배웠다.
그때 나는, 내가 자를 대고 긋는 건 실선이 아니고 뭐람?이라며 속으로 비아냥거렸지만 겉으론 이해한 척 고개를 끄덕거렸다.
그 당시에는 곧장 이해 못 했지만 20살이 되고,

30살이 되어 보니 인생이란 수많은 점들로 이뤄진, 가까이에서 보면 점선이지만 멀리서 보면 실선임을 알게 되었다.

 

이 책에도 많은 점들이 나온다. 다 읽고 나서는 이 점들을 어떻게 이어야 하나,

하나의 이야기로 어떻게 선을 그어야 하나 혼란스러웠다.
그런데 한 시간이 지나고 반나절이 지나고 밤이 되어 생각해보니

굳이 실선을 만들지 않고 점 그대로 두어도 되지 않은가,라며 혼자 깨달음을 얻은 척 결론을 내었다.

사건의 연관성보다 사건 자체를 받아들이고 나면 한 발자국 뒤로 물러섰을 때 실선처럼 보이지 않을까 하며.
흥미롭게 읽고 나니 점이라는 것, 그리고 점선이라는 것에 대해 고민하게 만드는 '점선의 영역'이었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