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 제로 편 - 지혜를 찾아 138억 년을 달리는 시간 여행서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개정판)
채사장 지음 / 웨일북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크라테스에게는 국가의 법이 아니라 내면의 법이 중요했다. 그는 아테네 시민에게 실제로 이렇게 말했다. "나는 여러분에게복종하기보다 오히려 신에 복종할 것입니다."

이제 우리는 동양의 위대한 스승들이 일원론적 세계관을 전개했음을 안다. 《베다》, 도가, 불교의 사상이 ‘세계와 자아의 통합‘ 으로 수렴한다는 것을 말이다. 그들은 세계와 자아가 그 근원에서 분리되지 않음을 깊이 이해하고 있었다. 이것이 위대한 스승들이 지혜롭게 말해준, 인류가 도달할 수 있는최종 사유였다.
반면 서양은 플라톤 이후 이원론적 세계관을 토대로 발전했다.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이분화가 이루어졌다. 세계와 세계의 분리, 자아와 자아의 분리, 그리고 세계와 자아의 분리. 우선 세계는 완벽한 이데아 세계와 불완전한 현실 세계로 나뉘었다. 다음으로 자아는 영원 불멸의 영혼과 감각적인 나약한 육체로 분리되었다. 마지막으로 세계와 자아는 각각 대상으로서의 자연과 주체로서의 인간으로 규정되었다.

칸트의 관념론은 합리론과 경험론의 문제를 종합적으로 해결한다. 이제 그에게 인식론적인 질문을 던져보자. "확실하고 참된 지식은 어떻게 얻을수 있습니까?" 칸트는 이렇게 대답한다. 우리는 인식된 대상이 아니라 인식하는 주체의 한계와 능력을 검토해야 한다. 그는 진리의 기준을 ‘외부의 대상 세계‘에서 ‘내면의 주관 형식‘으로 뒤집어 놓았다. 그래서 그는 스스로 이것을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이라고 말할 수 있었던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