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입의 즐거움 - 개정판 매스터마인즈 1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지음, 이희재 옮김 / 해냄 / 200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가장 싫어하는 책의 장르를 고르라면 단연코 자기계발서이다. 진정으로 나은 사람이 되고 싶다면 오히려 인문학이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 책은 심리학을 기반으로 한 교양인문서이지만 또한 진정한 자기계발서이다.

우리의 일상은 크게 일(생산)과 유지, 여가로 구성된다. 우리 “삶의 성격은 우리가 직업적으로 하는 일에, 이미 가지고 있는 것이 허물어지지 않도록 애쓰는 노력에, 그리고 남은 시간에 벌이는 활동에 좌우된다고 보아도 무리는 아니다.” 우리가 매일 매일을 어떻게 보냈느냐에 따라 우리의 삶은 의미 없는 시간으로 흩어져 버릴 수도 있고 의미 있는 궤적을 남길 수도 있다. 중요한 건 어떤 일을 선택하고 어떻게 처리하는가이다.

일과 여가, 인간관계에 대한 새롭고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많다. 자발적인 일을 할 때 가장 만족스럽지만 의무감 때문에 하는 일도 그렇게 불만스럽지 않다. 오히려 딱히 할 일이 없을 때 우리는 우울하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을 때 우리는 집중을 하기 때문에 즐겁지만 혼자 있을 때 뭔가 걱정거리를 찾고 우울해 지기 싶다. 또한 행복하기 위해서는 여가시간이 필요하지만 TV 시청처럼 수동적 오락은 오히려 우리의 인생을 따분하게 만든다.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바깥에서 오는 자극이나 도전이 나의 관심을 앗아갈 때까지 기다리지 말고 스스로 먼저 관심을 기울이는 훈련”으로 몰입하는 시간을 보내야 한다.

이건 비단 여가 문제만은 아니다. 나이를 먹어갈 수록 우리는 이미 정해진 문화와 생물학 체계를 그대로 따라간다. 그래서 우리가 “삶의 지배권을 되찾을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우리 자신의 의지가 원하는 방향으로 마음을 기울이는 요령을 터득하는 것이다.”

이 책을 통해서 내가 더 괜찮은 사람이 되기를.

“삶을 훌륭하게 가꾸어주는 것은 행복감이 아니라 깊이 빠져드는 몰입이다. 몰입해 있을 때 우리는 행복하지 않다. 행복을 느끼려면 내면의 상태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고, 그러다 보면 정작 눈앞의 일을 소홀히 다루기 때문이다. 암벽을 타는 산악인이 고난도의 동작을 하면서 짬을 내어 행복감에 젖는다면 추락할지도 모른다. 까다로운 수술을 하는 외과의나 고난도의 작품을 연주하는 음악가는 행복을 느낄만한 마음의 여유가 없다. 일이 마무리된 다음에야 비로소 지난 일을 돌아볼 만한 여유를 가지면서 자신이 한 체험이 얼마나 값지고 소중했는가를 다시 한 번 실감하는 것이다. 달리 표현하자면 되돌아보면서 행복을 느낀다. 물론 몰입하지 않고도 행복을 맛볼 수는 있다. 고단한 몸을 눕혔을 때의 편안함과 따사로운 햇살은 행복을 불러일으킨다. 모두 소중한 감정임에는 틀림없지만 이런 유형의 행복감은 형편이 안 좋아지면 눈 녹듯 사라지기에 외부 상황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몰입에 뒤이어 오는 행복감은 스스로의 힘으로 만든 것이어서 우리의 의식을 그만큼 고양시키고 성숙시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