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양장)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청미래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랑이나 연애에 관한 소설은 잘 안 읽는다. 장르가 확실한 소설책은 보통 대강의 줄거리와 결과를 짐작할 수 있는데, 그 중 연애 소설이 최고다. 조금만 읽어도 무슨 일이 일어날지 알 수 있어서 손이 잘 안 가게 되더라. 그래서 이 책 역시 많이 들어봤지만 지금에야 읽었다.

영국에서는 『Essays in Love』, 미국에서는 『On love』이란 제목으로 출판되었는데, 개인적으로 정말 소설과 딱 어울리는 단순하고 명쾌한 제목인 것 같다. 제목처럼 소설은 정말 사랑에 관한 이야기이다. 연인을 어떻게 만나서 관계를 이루고 어떻게 헤어지는지, 연애를 한 번이라도 해 본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경험했을 법한 이야기들이다.

그런데 책의 독특한 점은 철학적인 관점으로 사랑을 이야기한다. 철학은 ‘인간과 세계의 근본 원리와 삶의 본질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우리 삶 속에 사랑이 [어느 정도 또는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고 생각한다면 [물론 여기에 동의하지 않을 사람도 있겠지만], 사랑이 철학적으로 얼마나 잘 설명될 수 있는지 이해가 간다.

처음 책을 읽을 시작했을 때는 매우 유쾌했다. 운명적으로 클로이를 만나서 사랑에 빠진다. 마치 연애가 막 시작될 때처럼 책에 푹 빠져서 읽었다.

중간 정도 읽다보니 조금씩 지루해진다. 두 사람은 서로에 대해 익숙해지고, 많은 것들을 공유하지만 연인들이 가고 있는 길이 눈에 보이기 시작한다.

행복의 모습은 한 가지이지만 불행의 모습은 다양하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는데, 이걸 연애에 적용시키면, 사랑이 시작되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결국 끝나는 모습은 같다고 해도 될까. 클로이의 다른 선택으로 사랑이 끝나고, 이야기도 끝났다. 두 사람이 결국 어떻게 되었는지 확인하려고 끝까지 읽었지만, 책의 후반부는 거의 의무적으로 읽었다. 뒷부분이 그다지 재미가 없었던 건, 원래 사랑이 끝나는 과정이 이렇게 즐겁지 못하고 분노가 치밀기도 하고 지루하기도 한대 이걸 잘 표현했기 때문일 수도 있다.

한번은 읽으라고 추천해 주고 싶지만 두 번 읽고 싶지는 않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