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읽는 방법 - 히라노 게이치로의 슬로 리딩
히라노 게이치로 지음, 김효순 옮김 / 문학동네 / 200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왜 읽어야 할까’와 ‘어떻게 책을 읽어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가지고 관련된 서적들을 읽기 시작했다. 내 질문에 대하여 책은“단순히 정보처리 속도를 높이는 것이 목적이라면 독서는 무의미하다. 주체적으로 생각하는 힘을 기르는 것. 이것이야말로 독서의 본래 목적이다”라고 답을 준다.

『독서의 기술』이 교양서를 중심으로 어떻게 분석하면서 읽는지를 알려준다면,『책을 읽는 방법』은 문학책을 중심으로 어떻게 다양한 방법으로 읽을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딱딱한 『독서의 기술』에 비하면 부담 없이 읽을 수 있다.

책을 올바르게 읽는 방법은 슬로 리딩이다. 천천히 시간을 들여서 상상하고, 작가의 의도를 생각하고 질문하고, 정확하게 독서를 하는 것을 말한다. 책은 왜 슬로 리딩을 해야 하는지를 소개하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 그리고 구체적인 예를 들어서 슬로 리딩을 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책에서 말하는 슬로 리딩의 장점과 방법은 사실 새로운 주장이 아니라 이미 알고 있거나 하고 있는 이야기들이었지만 논리적으로 차근차근 친절하게 설명하고 정리를 해주기 때문에 고개를 끄덕거리면서 읽었다. 쉽게 공감을 이끌러낸다.

몇 구절을 소개하면,“독서의 재미 중 하나는 읽은 책을 통해 다른 사람과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좋은 책을 읽으면 다른 사람들에게 소개하고 싶고, 같은 책을 읽었다면 이야기하고 싶다. 그렇기 때문에 슬로 리딩으로 책을 꼼꼼히 읽어야 한다.

소설을 속독해서 안 되는 이유는 “소설에 다양한 노이즈가 있기 때문이다.” 책을 빨리 읽으려는 독자는 소설 속의 많은 설정과 묘사가 독서에 방해가 되는 노이즈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런 노이즈가 소설을 만든다. 연애소설의 줄거리는 거의 비슷하다. 남녀 두 사람이 만나서 서로 관계를 맺고 끝나거나 헤어진다. 만약 여기에 노이즈가 없다면 모든 연애 소설은 똑같아진다. 굳이 읽을 필요가 없는 것이다. 이런 노이즈를 찾아내고 느끼면서 읽어야 하는 것이다."노이즈는 우리에게 현실의 다양함을 가르쳐주고, '연애'처럼 몇 번이고 되풀이되어온 주제도 결코 항상 같지는 않음을 알려준다."

덧붙여, 독서 감상을 쓰는 것이 슬로 리딩의 좋은 방법 중 하나라고 소개한다."막상 쓰려고 하면 반드시 막히는 부분이 나온다. 그곳을 메우면 내용의 전체적인 상이 확실하게 정착된다. 누구인지는 몰라도 블로그 방문자들에게 그 책을 소개한다는 생각으로 쓰려고 하다보면, 먼저 자신이 확실하게 이해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사실을 실감할 것이다. 그렇지 않고 단순히 ‘재미있었다’든지 ‘별로였다’라고만 쓴다면 모처럼의 독서체험이 무용지물이 되어버린다.” 좀 더 의식적으로 책에 대한 의견을 가지고 표현을 하도록 노력해야겠다.

개인적으로는 책을 즐기면서 읽는 것이 진정한 책을 읽는 방법이 아닐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