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독서의 기술
모티머 J.애들러 외 지음, 민병덕 옮김 / 범우사 / 1993년 3월
평점 :
품절
학교 다닐 적 교양 수업에서 책을 알게되었지만 지금에서야 제대로 읽게 되었다. 당시에 분야와 상관없이 아무 책이나 닥치는 대로 읽었지만 책을 읽는 행위는 마치 게임을 하는 것처럼 즐거움이 목적이었다. 그래서 재미있지도 않는 책을 굳이 읽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틀렸다. 이 책은 매우 재미있다. 그리고 유용하다.
‘독서의 기술’이란 제목이 말하는 것처럼, 이 책은 어떻게 올바른 독서를 해야 하는가에 대한 실용서이다. 책은 독서를 4 단계로 나눈다. 초급 독서, 점검 독서, 분석 독서, 신토피칼 독서. 상위 독서는 하위의 독서법을 포함하는 방법이며,저자는 특히 3 단계인 분석 독서를 초점을 맞춰 자세히 설명한다.
분석독서의 시작은 책을 종류와 주제에 따라 분류하고 전하는 지식에 종류에 따라 알맞은 방법으로 책을 읽는 것이다. 이 책을 실용서로 정의하고, 교양서와는 다른 목적으로 읽는 것. 이 것이 책이 강조하는 분석 독서의 첫 단계이다. 그 다음으로 내용을 해석하는 단계를 거쳐 비평을 한다. 책을 읽고 난 후, 단순하게 ‘좋다’, ‘싫다’의 수준으로 생각하는 나에게, 저자는 “책에 대한 어떠한 판단에도 반드시 그 근거를 제시하고, 지식과 단순한 개인적인 의견의 구별을 분명하게 할 것”이라고 말한다. 책을 읽은 후 독자의 임무는 완수하려면 교양서의 경우 저자의 주장에 찬성하는지 반대하는지, 문학의 경우 책의 어디가 좋고 어디가 좋지 않은지를 구체적으로 논하고 그 이유를 말해야 한다. 그것은 독자의 의무이며, 진정한 독서란 책을 읽은 후 충분한 근거가 있는 비평을 하는 것까지 포함한다.
책은 거의 교양서를 중심으로 다루고 있는데, 마지막 한 장에서 문학을 읽는 법에 대해서 이야기 한다. 이 장은 길지 않았지만, 인상 깊었던 단락이 많았다. 그 중의 하나로, 그는 소설을 인생에 비교한다. 우리가 인생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을 다 이해하지 못하고 지나치지만 시간이 지나고 되돌아보면 그 때 비로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문학 역시 다 읽고 되새겨보았을 때 그 안의 사건과 등장인물의 행동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자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문학을 정말로 잘 읽기 위해서는 오직 그 세계를 경험하는 수밖에 없다.”
물론 이 책을 읽었다고 해서, 독서의 방법을 바로 깨우치는 건 아니다. 하지만 책은 어떻게 독서를 해야 하는지를 알려주면서, 반복되는 훈련을 한다면 누구나 올바르게 책을 읽을 수 있고, 이러한 정신 활동으로 자신을 성장시킬 수 있다고 말한다. 책을 분류하고, 해석하고, 비평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