걱정이 많은 사람을 위한 심리학 수업 - 고민과 불안에 휘둘리지 않는 심리 면역 키우기
채드 르쥔느 지음, 조영지 옮김 / 빌리버튼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년부터 시작한 복지와 상담 쪽 공부를 하면서
심리의 매력에 빠지기 시작했다
조금 더 깊이 알고싶은 목마름에 임상심리수련을 하는데
이것도 살짝 아쉽기만 하던 중 너무 괜찮은 책을 발견

빙산의 일각 밖에 맛을 보진 못했지만
인본주의 칼로저스 학자에 대해 배울 때 
너무 감동적이었고 그 이론에 대해 더욱 배우고 싶었다
열심히 강의를 듣는 것도 좋지만 그보단 책을 읽는 것이 
더 쉽게 알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세상 모든 걱정을 혼자 짊어지고 사는 사람= '나'
그래서 어려서부터 별명도 '트리플 A형'이다
그렇다고 조심성이 있는 것도 아니라서
덜렁대다가 우려했던 일들이 현실이 될 때도 많았다

그래서 매사에 최악의 시나리오까지 생각하곤 했는데
이젠 모든 것들에서 이런 습관이 적용되버렸다. 





또, 하루 일과를 마치고 잠자리에 누으면
오늘 했던 행동이나 말 중에서 바보같았던 일을
되새김질하면서 후회하고 또 상대가 날 어찌 생각했을까
어찌 오해를 풀까 세상 별 걱정을 다했었다

육아를 하면서 정신적 육체적으로 힘들다보니 
모든 것이 귀찮아지며 자연스레 그런 걱정은 줄었지만
또 다른 걱정이 줄어든 빈자리를 끝없이 채우는 것 같다.

예전엔 이런 걱정들이 어떤 상황에서도 
당황하지 않을 수 있을 거라는 신념을 가지고 있었지만
이 책을 읽는 내내 나는 굳이 하지않아도 되는 일에
나의 시간과 에너지를 쏟으며 정신적 고통을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었던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사실 이 행동이 만성이 된 이유는 어렸을 때 우연히 했던
이 행동이 크게 도움이 된 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 뒤 한 자기계발도서에서도 우려하는 상황에 대해
최악의 시나리오를 구상해놓는 것이 좋다는 
글을 읽고 그것을 모든 상황에 적용해야겠다는
내 인지오류의 심지에 불을 지피게 된 것이다

책을 읽어보니 지금 생각해보면 체계적둔감법을 
잘못 이해해서 모든 순간에 최악의 순간을 상상하는
습관을 적용시켜버린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미리 걱정하면 나쁜 일이 
일어나지 못하도록 예방할 수 있다'
심리학자들은 이를 '마법의 사고방식'이라 부른다
...
걱정을 통해 앞날을 통제하려는 시도는 ...
더 큰 문제의 작은 부분에 지나지 않는다.

미래의 불확실함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현재에 필야한 행동에 집중함으로써 
통제할 수 없는 것을 통제하려는 욕구를 
버리는 마음가짐이 필요하다



이 최악의 시나리오를 상상하는 것은 
치료의 일부분이고 책 속에 자세한 방법도 나온다
이론으로만 어렴풋이 알고 있었던 심리치료를
배우게 되서 기쁘기도 하고 신기하기도 했다.

이런 행동을 수정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한번 읽고 끝내는 것이 아니라 여러번 셀프체크하면서
책의 램프치유법을 따라해보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나중에 임상심리사를 취득하여 근무를 하게 된다면
실전에서 사용할 수 있을 보물과 같은 책을 발견한 듯하여
개인적으로 굉장히 만족스러운 책이었다.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쓸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