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의 말 - 포스트코로나, 공자에게 길을 묻다
최종엽 지음 / 읽고싶은책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다보면 감동적이거나 공감적인 부분 등에 
밑줄을 그으며 읽게 되는데 이 책은 줄을 긋지 않아도
문장하나하나가 모두 보물같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나보다 난 사람을 보면 
정면교사(正面教師)로 삼아 그를 따르고
나보다 못난 사람을 보면
반면교사(反面教師)로 삼아 나를 고칩니다."



재작년, 중학생 대상 인문학 강의를 진행준비로
여러 인문학 서적들을 읽으면서 가장 많이 읽은 문구가
고전을 읽어야 인문학을 제대로 알 수 있다 란 말이었어요

공자 역시 옛것을 믿고 좋아하여 깊이 학습하였고
배우기에 싫증 내지 않고 그저 묵묵히 익히고 기억하려
노력하였다고 합니다.

"도(道)에 뜻을 두고, 덕(徳)을 기준으로,
인(仁)에 의지하여, 육예(六藝)에서 노닐어야 한다."


공자는 국영수와 같은 학문 보다는 인문교양과 사람됨을
묻는 학문이 먼저 여야 한다고 말씀하셨는데요,

저 역시 강의 시작하기 앞서 인문학은 무엇인지
인문학을 왜 배워야 하는지에 대해서 설명할 때 
우리가 생활에서 하는 모든 고민이 인문학적 사고이고,

우리가 걱정없이 편안하고 행복하게 잘 살기 위해
인문학을 배워야 한다고 이야기했던 기억이 납니다.
무작정 고민하는 것 보다는 옛 선조들의 사고와 지혜를
읽어보면 더 지혜롭게 문제를 해결 할 수 있기 때문이죠

공자의 말에서는 총 224가지 생각과 말씀이 담겨있고
매일 한장씩 읽으면서 하루를 되돌아보고 생각할 수 있는
한장한장 보물같은 내용들이 적혀있습니다.



"말이 많다는 것은 말로 설명하기엔 
무언가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공자의 말은 참으로 간명합니다.
말보다 더 확실한 행동으로 말하기 때문입니다.
말과 글보다 더 중요한 실행과 행실을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겉과 속이 다르지 않은 진정한 스승의 모습입니다."



우리는 왜 배워야 하는가
최선을 다 하려면, 최고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지치고 힘들 땐 어떤 생각을 하면 좋을까
어떻게 하면 사업을 잘 이끌 수 있을까


직장인, 학생, 어린이, 주부 등 어떤 위치에서도
남녀노소 구분 없이 무난하게 읽을 수 있고
더 많은 것을 얻어갈 수 있는 필수독서라는 생각과
학교에서도 공자의 말과 같은 도서로
생각하고 말하는 수업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