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관상은 내가 본다 - 관상편 내 운명은 내가 본다
퀴니 지음 / 소울소사이어티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화려한 핑크와 은색 도트가 인상적인 도서 커버 디자인

'내 관상은 내가 본다'는 관상학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담은 책으로 작가 퀴니님은 2006년부터 1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의 관상을 보았다고 합니다.

저자처럼 묘한 끌림이 있다거나 깊이 있는 특정 목적으로 선택한 책은 아니지만

유독 관상과 인상 사주팔자를 이야기하는 명리학에 대한 이야기를 개인적으로도 참 많이 접했던 2024년 이었어서 흥미롭고 궁금함이 일더군요.

꼭 해당 학문에 신봉하는 사람이 아니어도 충분히 흥미로움을 가질 수 있는 분야가 아닐까 싶네요.

사주팔자를 다루는 명리학도 그렇지만 관상학 역시 꽤 오래전부터 그 자료들을 모아

하나의 갈래로 학문으로 이어져 온 듯 합니다. 하지만 작가 역시 '사주 불여 관상', '관상불여심상' '상형불여론심'이라는 중요한 기준과 신념을 책의 곳곳에 기억하려는 듯 남겨 두었습니다.

관상학이라 함이 태어나며 가진 모습이지만 타고난 자체보다는 세월과 관습 혹은 개인의 일상과 마음에 따라 표정 등이 바뀌는 것들을 고려한 듯 마음에의 상, 즉 생김새를 보는 것에 있어 얼굴만을 논하는 것이 마음씨를 논함만 못하다는 뜻을 말하는 것으로 궁극적인 목적 역시 잘 상기시켜주어 인상적이었습니다.

관상학에서는 고전급이라고 불리는 '마의 상법'이라는 책에 나오는 '오악' 등도 흥미로웠습니다.

어쩌면 생김에 대한 조목조목 통계를 나눠 그 사람의 성품이나 인생까지도 점 쳐볼 수 있다는 것이 관상학임에도 인상을 좌우하는 얼굴의 조화와 균형, 풍겨나는 기색 역시도 관상의 한 부분임을 책에서는 말해줍니다.

책 '내 관상은 내가 본다'는 관상학이라는 또 하나의 언어를 하나 더 늘려주는 책이라는 점에서도 흥미로웠지만 이것들을 우리가 왜 알아야 하는가 하는 중요한 정석을 놓치지 않기에

만들어져 얻는 '운'에만 사람들이 기대지 않고, 스스로 좋고 나쁨의 갈래를 알고(알려져 있는 정보인, 혹은 관상학에 따른) 나쁘다는 것만은 조금 멀어지고 떨쳐 내어 좋은 것을 보완하고 개선해

궁극적으로는 더 나은 삶을 위한 재료가 되길 바라는 저자의 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어쩌면 최근의 혈액형이나 mbti를 우리가 즐겨 하고 이용하는 것과 아주 조금은 비슷하게도

자신으로부터 그리고 주변의 사람들에 대해 늘 탐구하고 알고자 하는 인간 본능의 호기심 그것의 형태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아무튼 커버에 실린 말 처럼 '쉽고 재미있게' 관상학을 대하고자 함이라면

아무 장을 펼쳐 나의 얼굴을 맞춰보고 주변의 어떤 모습들도 추측해 볼 수 있음이 이 책의 가장 편리한 그리고 누구에게나 해당되는 재미 요소로 여겨집니다.

기초적인 인식에 대한 안내와 삼정, 오악, 눈썹, 코 등등 종국에는 개운법까지.

책 곳곳에 그려진 눈썹과 눈 얼굴의 다양한 삽화는 이런 과정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데

그야말로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탐색한 노력이 잘 느껴졌네요.

거울에 비친 나의 모습

오래전 나의 모습 그리고 앞으로 또 내 심상에 따라 변해갈 나만의 관상을 마주할 수 있는

팬시 하면서도 재미있는 여운의 시간이었네요.

나와 주변도 그렇지만 평소 멘토, 유명 인사 분들의 모습을 빗대어 점쳐보는 소소한 재미가 또 더 있었던 것 또한 남기며 글을 줄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