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라라트 산
루이즈 글릭 지음, 정은귀 옮김 / 시공사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루이즈 글릭(1943-2023.10) 그녀의 수사는 꾸밈없는 꾸밈으로,

수수하면서도 덤덤하게 다가오는 시와 심상의 색채에 비해 화려한듯한 타이틀로 먼저 만났습니다.

미국 현대 문학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이면서 24년 만의 여성 노벨 문학상 수상자, 그리고 퓰리처상

거기에 국내 시인들의 찬사와 번역으로 실린 일부의 시들은 명성보다도 먼저 만날 수 있어 왔는데

그 이름만을 알고 있던 여류 시인 루이스 글룩을 이 겨울에 드디어 봅니다.

아직, 야생 붓꽃<1993년 시집 The Wild Lris>도 접하지 못해서 최대한 많이 그녀의 시를 알고자 <내려오는 길>, <아라라트 산> 2 권의 시집을 한 번에 읽었네요.

먼저 읽은 <내려오는 길>을 읽고 나서야 <아라라트 산>을 읽기 시작했습니다.

앞의 시집도 그랬지만 여운이 강한 시들은 여러 번씩 읽고도 오래 생각하게 되는 힘이 있습니다.

루이즈 글릭의 5번째 시집.

왜 <아라라트 산>인가? 시집의 제목이고 시의 제목인 아라라트 산은 무엇일까.

아라라트 산은 지명이면서 동시에 성경 속, 창세기에 나오는 산으로 노아의 방주가 대홍수 끝에 표류하다가 닿은 그 산을 말한다고 합니다.

위치적으로는 튀르키예 보스포루스 해협과 지중해와 연결된 지점에 있는 해발 5천 미터가 넘는 아주 높은 산.

죽음의 수사, 담대하게 죽음을 응시하는 그녀의 성찰이 담긴<내려오는 길>이 형상의 낙하만을 일컫는 것은 당연 아니었고

신화의 배경이자 시들이 모인 책의 전체 배경이 된 듯한 제목 <아라라트 산>에서 엿볼 수 있듯

노아의 방주처럼 모든 삶들을 삼켜, 죽음 자체를 말하는 것도 같지만

반대로 이로 인해 새로 시작되는 출발, 희망을 말하는 것도 같아 두 시집이 이어지는 느낌입니다.

시인은 어쩌면 이모와 엄마 그리고 화자의 '운명'처럼

인간의 궁극적인 숙명, 죽음을 안고 또한 그 곁에서 죽음을 묵도하고 살아갈 수밖에 없는 살아있는 죽음(존재), 그러나 희망마저도 포함하고 있는, 인간 삶의 깊은 성찰이 깃들어 있습니다.

노래하는 시로서가 아니라 현상을 드러내 한참을 응시하는 어떤 다른 세계의 시선처럼. 그녀의 시는 화면이 한층 더 선명해지는 느낌을 받습니다.

수십여 일 쏟아지는 대 홍수 속에서 익사하며 잠겨 죽는 인간의 끝을 생각하면, 컥컥 목이 막히는 것도 같지마는

사라지는 목숨으로 글을 쓰는 분필처럼 조금씩 닳아지는 인간 세계의 시간, 더 세밀하게, 나의 시간마저도 다시 생각해 보게 됩니다.

아라라트 산

Mount Ararat

내 언니의 무덤보다 더 슬픈 것은 없다

언니 무덤 옆, 사촌의 무덤 말고는,

지금까지도, 나는 이모와 엄마를

똑바로 바라볼 수 없다.

엄마와 이모의 고통을

보지 않으려고 애쓸수록, 그게 더더욱

우리 가족의 운명인 것만 같다;

무덤마다 소녀 아이 하나를 지구에 기증한다.

... 중략...

<아라라트 산> 루이즈 글록

그리고 지난 10월 또 하나의 꿈으로 떠난 그녀 평안하시기를 기도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