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이즈 글릭(1943-2023.10) 그녀의 수사는 꾸밈없는 꾸밈으로,
수수하면서도 덤덤하게 다가오는 시와 심상의 색채에 비해 화려한듯한 타이틀로 먼저 만났습니다.
미국 현대 문학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이면서 24년 만의 여성 노벨 문학상 수상자, 그리고 퓰리처상
거기에 국내 시인들의 찬사와 번역으로 실린 일부의 시들은 명성보다도 먼저 만날 수 있어 왔는데
그 이름만을 알고 있던 여류 시인 루이스 글룩을 이 겨울에 드디어 봅니다.
아직, 야생 붓꽃<1993년 시집 The Wild Lris>도 접하지 못해서 최대한 많이 그녀의 시를 알고자 <내려오는 길>, <아라라트 산> 2 권의 시집을 한 번에 읽었네요.
먼저 읽은 <내려오는 길>은 첫 시의 강한 여운으로 몇 날 며칠을 펼치고 또 펼쳐 생각하고 또다시 읽게 되는 힘이 있습니다,
그녀의 시는 맑고 청량한 낮에도 깊은 밤에도 시간 상관없이 읽기 좋겠지만
제목으로만은 짐작할 수 없었던 어떤 이야기를 하고 싶은 것이었는지 오래 생각해 보게 되었는데요,
시들을 읽고 나면 왜 그 '모습'에 주목하는지,
'현상'이나 '형상'의 묘사가 여러 장면을 오가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장면을 슬로우 화면으로 찬찬히 그려
마치 명화를 보며 생각에 잠기는 것과 비슷한 느낌을 주었고
우리가 다 같이 바라보는 사건, 그러니까 일상과 삶에서 오는 인간 성찰의 결이 속속 깃들어 있습니다.
그녀의 문체는 아름다움을 묘사하는 데에 쓰이는 것이 아니라
'묘사하는 모습'이 아름다운 것이라 느껴지는데 그 이유가 여기에 있는가 합니다.
첫 장부터 오해 없이 편견 없이 시를 마주하기는 생각보다 어려웠는데
오명이 생기는 사회도, 그 조차 감안했을 시인의 마음도, 책을 덮을 때에 이르러서는 어쩐지 두 쪽의 마음이 다 이해가 되더군요.
필자는 평소 수없이 많은 아름답고 유명한 시 등이 있음에도
이조차 식상해져 고전을 다시 찾아 읽고 있었는데 동시대 시인에게서만 느낄 수 있는 감상들이, 새삼 인상적이었습니다.
시집 <내려오는 모습>에서 타이틀 시도 좋았지만
필자는 가장 앞 장의 '익사한 아이들'이 오래 마음에 남아 마음에 걸리었네요.
가 없는 물속에서 길을 잃은 아이들.
물의 품 속에서 꿈으로 떠났을 아이들.
문득 천안함 생각이 났고,
한국인들이라면 그들을, 그 아이들을, 그리고 아이들을 보낸 부모들의 찢어지는 가슴의 떨림을 다 함께 흐느껴왔기 때문에.
많은 장면들이 겹쳐지면서 불쑥 눈시울이 뜨거워지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