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늘은 어반스케치 - 하루 한 그림, 펜 드로잉부터 수채화까지
드로잉샤론(김미경) 지음 / 도서출판 큰그림 / 2023년 10월
평점 :

삶의 많은 일이 모두 마찬가지겠지만
거창하고 요란한 한차례 폭풍보다는 꾸준한 매일의 노력이 요구되는 것이 그림인 것 같다.
'낙서하듯, 일기를 쓰듯'이라는 도입부의 글들이 가장 기억에 오래 남는 이유는 필자 스스로도 마음처럼 그러지 못해왔기에.
나는 일 때문에도 펜 드로잉을 반드시 거쳐야 하고,
낙서도 일기도 수없이 그려왔다.
물론 그저 그림이 그리고 싶어지는 날이 많아서 일상에는 늘 노트와 펜이 베프다.
꽤 오래 그림을 그려왔지만 '잘 가고 있는 것인가?' 하는 의문이 불쑥 불쑥 들기도 했었고
그 무엇보다 '내가 좋아서' 그림을 잘 그리고 싶었기에 내 그림이 시간이 흘렀을 때 좀 나아질 수 있는 실력을 늘릴 비결이 궁금했다.
더 나가아 무언가를 기록하고 그림으로 남기고팠다. 기왕이면 '잘'. '예쁘게'. 혹은 내가 원하는 대로.
책 어반 스케치는 취미든 일이든 그림을 '시작하기에' 필요한 가이드다.
초심자의 시절 잘못된 자세로만 계속 연습하면 아무리 오래 해도 수준 높은 경기를 할 수 없는 어떤 운동처럼.
내 그림도 혹시 그런 게 아닐까? 하며 점검하고 싶은 마음이 책을 선택하게 했는데 비결은 아주 간단한 듯 오래도록 놓쳐버린 '기본'에 있었던 것이다.
책은 재료 준비 부터 채색까지 드로잉에 국한되지 않고 수체화 채색이라는 새로운 도전까지 목표한 내용으로 안내되어 있다.
대신 200쪽이 채 되지 않는 한 권의 도서에서 설명하는 만큼 개괄적이고 꼭 짚어야 할 포인트만 모은 느낌이다.
그럼에도 가장 놓칠 수 없는 '세부적인 그림 그리기'의 방법은 챕터 2개 이상을 할애하여 그림으로 보여주고 꽤 실용적인 연습 모델이 나와 있다.
우선 펜과 종이를 고르는 것부터 시작한다.
사실 아무 펜과 종이 혹은 종이 대용품만 있다면 언제 어디서나 그림은 가능한 일일 테지만
어쩐지 멀리 가는 여행의 장비를 점검하듯 고민이 되는 게 사실이기에.
다른 사람들은 주로 어떤 펜을 쓰는지, 연필이 좋을지 샤프같은 것은 또 괜찮을지 나는 이런 자잘한 것조차 궁금했던 것 같다.
크게 중요하지 않겠지만 내가 사용하는 종이(드로잉북)와 펜이 책에서 언급한 브랜드랑 같은 것을 보니 왠지 '합격!' 통보라도 받은 것처럼 안도의 마음이 들기도 했다.
미술 학원의 실력 있는 선생님의 부드러운 조언의 느낌.
책의 가장 큰 장점은 낙서든 일기든 내가 원하는 그림을 그리고자 할 때 그림의 기초가 되는 Tool적인 부분이 담겨 있다.
직선 곡선, 면, 투시처럼 가장 간단한 내용일 테지만 이것이 바로 그림 실력의 뼈대가 된다.
이 재료들을 잘 사용해서 내 그림을 찾아 그리고 채색까지 하려면 가장 첫 머리에서 언급했던 '꾸준함'이 요구될 것이다.
나는 사각 박스 그리기를 다시 시작하기로 했다.
채색까지 모두 보아도 어떤 각도에서든 내가 그 3D 면의 형체를 바로 편안하게 그려낼 수 있을 정도는 되어야 가능하겠다는 마음이 들었다.
당연하게도 '그림을 잘 그리고자 한다면' 노력과 꾸준함이 무조건 있어야 마침내 내가 원하는 수준에 도달 할 수 있을 것이므로.
개인적으로는 인지하고 있었던 내용이었더라도 다시 한번, 리마인드 할 수 있는 시간이 되어주었다.
만약 언제나 그림에 관심만 있었는데 시작하지 못했던 초심자들에게 더 없이 적절한 도서로 생각된다.
간단한 듯 숙련을 요구하는 그림, 소질이나 기교적인 내용보다는 누구나 그림을 시작해서 일상속 취미로 삼을 수 있는 그림을 원할 때
내가 궁금한 기초적인 툴을 알려주고 훈련이 되게 도와주는 책이다.
여행에서 본 장면들 기억하고 싶은 순간들을 펜 드로잉이나 그림 일기로 남기고 싶은가? 그렇다면 지금 바로 펜과 노트를 사서 선 긋기를 시작하자!